산업통상자원부는 2015년도 자동차산업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생산 0.7%, 국내 판매 10.4% 증가, 수출 2.8%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http://www.motie.go.kr/
☆ 2015년 자동차산업 실적 (단위:천대, 억불, %)
■ 생산
수출 감소와 하반기 부분파업에 따른 생산차질에도 불구하고, 내수판매 호조로 전년대비 0.7% 증가한 456만대를 생산했습니다.
* 생산추이(만대, 전년비) : (2012)456(-2.0%) → (2013)452(-0.9%) → (2014)453(0.1%) → (2015)456(0.7%)
■ 수출
북미, EU 등으로의 수출호조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중남미, 중국 등 신흥시장 경기침체 등으로 전년대비 2.8% 감소한 298만대를 기록했습니다.
경차 수출 증가 등 차급 구성 변화와 글로벌 가격경쟁심화로 평균 수출단가가 하락하며, 수출금액은 전년대비 6.4% 감소한 458억불을 수출했습니다.
* 완성차 평균 수출가격($) : (2012)13,760 → (2014)14,867 → (2015.1-11)14,299
* 수출액 추이: (2012)472억불 → (2013)486억불 → (2014)489억불 → (2015)458억불
◆ 지역별
주요시장인 북미, EU, 태평양은 증가했으나, 동유럽·중남미는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위축 등으로 전년대비(11월누계기준) 감소했습니다.
◇ 미국
소비심리 개선으로 인한 자동차 수요 회복*과 신차출시** 등으로 19.2% 증가
* 미국 승용차 시장(천대, 전년동기대비증감율%, 자료: Ward's Auto):
(2012)14,440(13.4) → (2013)15,532(7.5) → (2014)16,994(6.1) → (2015)17,900(5.3)
** 2015년 신차출시 : 아반떼, 투싼, 스포티지, 스파크, K5
◇ 유럽연합
프랑스로의 수출이 줄어들었지만 영국, 독일, 스페인 등으로의 수출이 늘어나며 전체적으로 10.4% 증가
* EU 승용차 시장 (천대, 전년동기대비증감율%, 자료: 유럽자동차공업협회):
(2012)12,528(-7.8)→(2013)12,308(-1.8)→(2014)12,010(5.5)→(2015.1-11)12,604(8.7)
◇ 신흥시장
동유럽은 러시아의 경제침체와 통화가치 하락에 따라 자동차 시장이 58.9% 급감하였으며, 중남미는 원자재 가격하락에 따른 브라질*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13.8% 감소
* 대 러시아 수출(대): (2014.1.-11.)104,501→(2015.1.-11.) 39,018(-62.7%)
* 대 브라질 수출(대): (2014.1.-11.)29,980→(2015.1.-11.) 16,175(-46.0%)
☆ 지역별 수출 현황 (단위 : 천대, %)
◇ 차급별
다목적 차량은 투싼, 스포티지 등 신차효과와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의 수요 확대로 인해 경차와 더불어 수출량이 증가했습니다.
☆ 승용차 차급별 수출비중 및 수출증감률 (단위 : %)
■ 내수시장
2015년 내수 판매는 개별소비세 인하(8.27-12.31), 신차출시, 레저용 차량(RV) 수요 확대 등으로 전년과 비교해 10.4% 증가한 183만대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 내수판매 추이(전년대비증감률): (2011)157.7만대(1.5%) → (2012)154.1만대(-2.5%)→ (2013)154.0만대(-0.1%) → (2014)166.1만대(7.9%) → (2015)183.3만대(10.4%)
◆ 국산차
개별소비세 인하(8.27-12.31), 캠핑문화 확산에 따른 레저용 차량(RV) 수요증가와 신차출시 등으로 전년대비 7.7% 증가한 156만대를 판매했습니다.
☆ 국산차 차급별 판매 비중 추이, %
◆ 수입차
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 사태에도 불구하고 수입 차량에 대한 선호 확대, 마케팅 강화, 다양한 신 모델 출시 등으로 전년대비 27.9% 증가한 28만대를 판매했습니다.
* 특히 독일 브랜드(BMW, VW, Mercedes-Benz, Audi, Porsche)가 60.7% 차지
◎ 2015년 12월 실적
2015년 12월 완성차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개별소비세 인하와 신차효과, 다목적 차량 판매 호조로 국내판매는 전년동월대비 16.5% 증가했으나, 대(對) 신흥시장 수출 감소 등에 따라 수출과 생산은 각각 5.6%, 6.5%씩 감소했습니다.
○ 생산
내수판매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 감소와 현대·기아차 부분파업으로 전년동월대비 5.6% 감소한 410,580대를 생산했습니다.
○ 수출
북미, EU 등으로의 수출호조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중남미 등 신흥시장 경기침체 등으로 6.5% 감소한 284,885대를 수출했습니다.
○ 내수
개별소비세 인하효과와 아반떼, 스포티지 등 신차효과에 싼타페, 투싼, 티볼리 등 다목적차량이 약진하며 14.4% 증가한 165,570대 판매했습니다.
◎ 수입차
수입차는 전년동월대비 47.1%, 전월대비 15.3% 증가한 30,087대를 판매
* 최근 3개월 판매량 (전월대비) : (2015.10) 21,229대(-12.7%) → (2015.11) 26,100대(22.9%)→ (2015.12) 30,087대(15.3%)
한편, 개별소비세 인하기간(2015.8.27~12.31, 127일) 국내 5개 주요 완성차업체의 일평균 내수판매는 19.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개소세 인하 효과에 더하여, 업체의 추가 가격인하와 특별 판촉, 신차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2015년 12월 자동차부품 수출은 러시아, 중남미 등 신흥시장 수요위축으로 전년동월대비 4.2% 감소한 21.7억불을 기록했습니다.
☆ 2015년 12월 자동차산업 총괄표 (단위 : 대, %, 억불)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자동차] 2016 디트로이트 모터쇼 참가, SUV 콘셉트카 '텔루라이드' 세계 최초 공개 (0) | 2016.01.12 |
---|---|
[인천시] '시민들의 추억 속 사진앨범' 정기 모집, 매월 15일 마감 후 '굿모닝인천'에 연재 (0) | 2016.01.11 |
아메리칸 항공(American Airlines) 2016년 말 국제선 프리미엄 이코노미 좌석 도입 (0) | 2016.01.11 |
[문화재청] 연천 남계리 유적에서 구석기 시대 주먹도끼 출토, 1월 13일 현장설명회 개최 (2) | 2016.01.11 |
[서울시] 국내최초 돔구장, 구로 '고척스카이돔' 1월 12일부터 대관신청 접수 (0) | 2016.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