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재욱, 이하 농관원)은 2016년 2월 1일부터 4월 29일까지 농업경영체 신규·변경등록과 쌀.밭(논이모작 포함) 조건불리직불금의 신청을 하나로 통합한 '2016년도 통합신청서'를 전국 각 시.군의 읍.면.동 공동접수센터와 농관원에서 일제히 접수한다고 공지했습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홈페이지 http://www.naqs.go.kr/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 http://www.mafra.go.kr/
그동안 각종 직불제는 지자체에, 경영체등록(변경)은 농관원시기별로 각 기관을 방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2015년부터 직불제와 경영체정보를 통합하여 농관원과 지자체 협업을 통해 한번 신청으로 여러번 방문해야하는 불편을 해소했습니다.
또한 그동안 신청서식이 복잡하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작성이 쉽도록 중복유사항목의 통합 및 연계 정보를 확대하여 신청서식을 대폭 간소화했습니다.
접수방식은 2015년과 동일하게 읍면동에 공동접수센터를 설치하여 마을별 집중신청 기간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농관원 조사원지자체 담당자가 참석하여 경영체등록정보직불제 신청 내역을 검토보완하여 접수하므로 편리하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집중조사기간 이외에 통합신청을 하고자 하는 농가는 2016년 4월 29일까지 농지소재지 지자체 또는 주소지 농관원을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농관원에서는 2016년 2월 22일부터 인터넷으로 농업경영체등록 신청 및 등록증명서(확인서) 발급이 가능한 온라인 경영체등록민원처리시스템을 구축.운용할 계획입니다(http://www.agrix.go.kr 농업경영체등록서비스).
농업경영체 등록제는 개별 농업인의 농지시설·농작물(축산),유통가공 및 농업 소득 정보 등 경영상황 전반에 등록하는 제도로써 2015년까지 160만 경영체의 등록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맞춤형 농정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지금은 63개 농림사업과 연계통합되어 있으므로 등록을 하지 않거나 변경된 정보를 수정하지 않으면 정부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쌀·밭·조건불리 직불금을 처음 신청하거나, 기존 경영체 등록정보가 변경된 경우는 정보를 수정한 후 농지소재지 읍·면·동사무소 또는 거주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관원)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아울러 맞춤형 농정추진의 일환으로 그 동안 축적된 농업경영체 정보를 활용하여 개별 농업인이 지원받을 수 있는 28개 농림사업을 직접 조회할 수 있는 '맞춤형 농림사업 안내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는 41개 사업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동 서비스는 간단한 정보의 입력을 통해 농업인 스스로 지원받을 수 있는 예상사업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자가진단, 경영체의 지원이력 및 금년도 지원 가능여부를 조회할 수 있는 수혜가능 사업목록 확인, 102개 농림사업의 요약본과 세부내용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문의전화는 콜센터 1644-8778
☆ 모바일웹에서 표가 제대로 안보이면 PC보기로 전환하세요.~
◎ 사업안내 서비스 대상 농림사업 목록
연번 |
농림사업 목록 |
서비스 형태 | |||
세부사업 |
내역사업 |
사업 안내 |
자가 진단 |
대상자 확인 | |
1 |
농지 규모화 |
농지매매사업 |
● |
● |
|
2 |
농지장기임대차사업 |
● |
● |
| |
3 |
농지의 교환 또는 분리 · 합병 사업 |
● |
● |
| |
4 |
전업농 육성 |
● |
● |
| |
5 |
경영회생지원농지매입사업 |
● |
● |
| |
6 |
농지 매입 · 비축 사업 |
● |
● |
| |
7 |
종자산업기반구축사업 |
우수종묘증식·보급기반구축사업 |
● |
|
|
8 |
과수인공수분용꽃가루채취단지조성 |
● |
|
| |
9 |
농기계임대사업 |
● |
|
| |
10 |
고품질쌀유통활성화사업 |
● |
|
| |
11 |
들녘경영체육성사업 |
● |
|
| |
12 |
밭식량작물산업육성사업 |
● |
|
| |
13 |
농산물공동출하확대지원 |
공동선별비 |
● |
|
|
14 |
물류기기공동이용지원 |
● |
|
| |
15 |
농산물산지유통시설지원 |
산지유통시설지원사업(舊 APC) |
● |
|
|
16 |
과수거점산지유통센터건립지원 |
● |
|
| |
17 |
인삼생산·유통시설현대화사업 |
● |
|
| |
18 |
원예농산물저온유통체계구축사업 |
● |
|
| |
19 |
농산물마케팅지원사업 |
농산물마케팅지원사업 |
● |
|
|
20 |
과실브랜드육성지원 |
● |
|
| |
21 |
산지유통활성화사업 |
● |
|
| |
22 |
소비자참여형직거래활성화사업 |
● |
|
| |
23 |
인삼‧약용작물계열화사업 |
● |
|
| |
24 |
첨단온실신축지원사업 |
● |
● |
| |
25 |
농업에너지이용효율화사업 |
에너지 절감 시설 |
● |
● |
|
26 |
공기열 냉난방 시설 |
● |
● |
| |
27 |
지열‧지중열냉난방시설 |
● |
● |
| |
28 |
폐열재이용시설 |
● |
● |
| |
29 |
목재펠릿난방기 |
● |
● |
| |
30 |
기능성양잠산물종합단지조성사업 |
● |
|
| |
31 |
원예시설현대화사업 |
과수 고품질 시설현대화사업 |
● |
● |
|
32 |
시설원예 현대화 |
● |
● |
| |
33 |
고추 비가림재배시설 |
● |
● |
| |
34 |
과실전문생산단지기반조성사업 |
● |
● |
| |
35 |
과원규모화사업 |
과원 매매 |
● |
● |
|
36 |
과원 임대차 |
● |
● |
| |
37 |
유기질비료지원사업 |
● |
|
● | |
38 |
토양개량제지원사업 |
● |
|
● | |
39 |
농업자금이차보전사업 |
농축산경영자금지원-농업경영자금 |
● |
● |
|
40 |
농축산경영자금지원-축산경영자금 |
● |
● |
| |
41 |
농축산경영자금지원-재해대책경영자금 |
● |
● |
| |
42 |
농업종합자금지원-원예/축산/가공사업 |
● |
● |
| |
43 |
농업종합자금지원-관광농원/농촌민박 |
● |
● |
| |
44 |
농업종합자금지원-농기계구입/관리 |
● |
● |
| |
45 |
농업종합자금지원-꿀/녹용가공산업 |
● |
● |
| |
46 |
농업종합자금지원-쌀가공산업 육성 |
● |
● |
| |
47 |
농업종합자금지원-우수기술사업화 |
● |
● |
| |
48 |
미곡종합처리장 벼 매입자금 지원 |
● |
|
| |
49 |
농촌주택개량사업 |
● |
● |
|
연번 |
농림사업 목록 |
서비스 형태 | |||
세부사업 |
내역사업 |
사업 안내 |
자가 검증 |
대상자 확인 | |
50 |
농업자금이차보전사업 |
농업경영회생자금지원 |
● |
● |
|
51 |
농기계구입자금지원 |
● |
|
| |
52 |
농기계사후관리지원 |
● |
|
| |
53 |
관광농원 · 농촌민박 |
● |
|
| |
54 |
후계농업인 육성 |
● |
● |
| |
55 |
우수후계농업인 추가 지원 |
● |
● |
| |
56 |
귀농귀촌정착지원 |
● |
● |
| |
57 |
농업경영컨설팅사업 |
● |
● |
● | |
58 |
귀농농업창업 및 주택구입지원사업 |
● |
● |
| |
59 |
농촌출신대학생학자금지원(융자)사업 |
● |
● |
| |
60 |
취약농가인력지원사업 |
영농도우미 |
● |
● |
|
61 |
가사도우미 |
● |
● |
| |
62 |
후계농업경영인육성사업 |
● |
● |
| |
63 |
쌀소득등보전직접지불제 |
고정직불금 |
● |
● |
● |
64 |
변동직불금 |
● |
● |
● | |
65 |
경영이양직접지불제 |
● |
● |
● | |
66 |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
친환경농업 |
● |
● |
● |
67 |
친환경안전축산 |
● |
● |
● | |
68 |
경관보전직접지불제 |
● |
● |
● | |
69 |
밭농업직불제 |
고정직불금 |
● |
● |
● |
70 |
동 · 하계/논 이모작 |
● |
● |
● | |
71 |
조건불리지역직접지불제 |
● |
● |
● | |
72 |
농업인건강‧연금보험료지원 |
농업인 건강보험료 지원 |
● |
● |
● |
73 |
농업인 연금보험료 지원 |
● |
● |
● | |
74 |
농업인자녀및농업후계인력장학금지원사업 |
● |
● |
| |
75 |
조사료생산기반확충사업 |
조사료 사일리지 제조비 지원 |
● |
● |
|
76 |
조사료 장거리 유통비 지원 |
● |
|
| |
77 |
조사료용 기계·장비 지원 |
● |
|
| |
78 |
조사료용 종자 구입 및 볏짚비닐 지원 |
● |
|
| |
79 |
초지조성 및 기반시설 지원 |
● |
|
| |
80 |
가공·유통시설 지원 |
● |
|
| |
81 |
조사료 전문단지 조성 |
● |
|
| |
82 |
가축분뇨처리시설사업 |
개별시설 |
● |
|
|
83 |
공동자원화시설 |
● |
|
| |
84 |
액비저장조시설 |
● |
|
| |
85 |
액비유통센터, 액비살포비 |
● |
|
| |
86 |
액비성분분석기, 부숙도 판정기 |
● |
|
| |
87 |
축사시설현대화사업 |
축사시설현대화사업 |
● |
|
|
88 |
가금농가 방역시설 개선 |
● |
|
| |
89 |
축산경영종합자금사업 |
브랜드경영체지원사업 |
● |
|
|
90 |
축산계열화사업 |
● |
|
| |
91 |
농산물우수관리(GAP)제도운영사업 |
● |
|
| |
92 |
피해보전직접지불제 |
식량 · 원예 · 특작/축산 |
● |
● |
● |
93 |
폐업지원제 |
식량 · 원예 · 특작/축산 |
● |
● |
● |
94 |
농작물 재해보험 |
● |
● |
● | |
95 |
가축 재해보험 |
● |
● |
● | |
96 |
친환경농업기반 구축 |
친환경농업지구 |
● |
|
|
97 |
광역친환경농업단지 |
● |
|
| |
98 |
농업인 재해공제 |
● |
|
| |
99 |
축산물 HACCP 컨설팅 |
● |
|
| |
100 |
농지연금 |
● |
|
| |
101 |
인삼경작신고 |
● |
|
| |
102 |
면세유 사후관리 |
● |
|
| |
계 |
|
102개 |
55개 |
18개 |
※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도정 군정 시정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 무료 심리검사 받을 수 있는 '자녀와 함께 떠나는 심리여행' 프로그램 운영 (0) | 2016.02.11 |
---|---|
2015년 한해 동안 경기도로 64만7천 명 이동, 하루 평균 260명씩 증가 (0) | 2016.02.11 |
[서울시] 교실로 찾아가는 다문화 이해교육, 일반인.기관까지 교육대상 확대 (2) | 2016.02.10 |
[국토교통부] 설 연휴 특별교통대책 결과발표 - 3,701만명 이동에도 소통 원활, 교통사고 인명피해 크게 감소 (0) | 2016.02.10 |
경북 신도청 인근 한옥마을 - 소산마을', '오미마을', 관광자원으로 개발 (2) | 2016.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