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항공기 운항에 필수적인 공역통제, 활주로 정보, 공항 이착륙절차 등의 각종 항공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한 항공정보통합관리(AIM) 시스템(체계)을 구축했습니다.
2017년 4월 17일부터 항공정보관리체계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각종 유의미한 항공정보가 제공됩니다.
* AIM(Aeronautical Infomation Management): 항공기운항에 필요한 정보를 전자형태로 생산․관리․교환하여 항공정보의 안전성․신뢰성․효율성을 확보하는 체계
항공정보관리체계 홈페이지 http://aim.koca.go.kr/aim/
항공정보통합관리(AIM) 시스템이란 필수 항공정보를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전자형태로 생산·관리하는 체계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시스템을 발전시키기 위해 2009년도 국내 이행계획을 마련하여 단계적으로 전환을 추진해 왔습니다.
이번에 그동안 구축, 부분적으로 제한 제공되던 항공정보를 통합하고, 외부 시스템 연계, 시험운영을 거쳐 본격적인 통합 항공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국내 단계별 이행계획 :
2010년 전자항공정보간행물, 2011년 전자항공고시보, 2012년 전자비행전정보게시, 2013년 전자공항지도, 2014년 전자지형및장애물, 2015년 외부 시스템과 연계, 2016년 시범운영
국토교통부는 이번에 구축한 시스템으로 항공정보의 생산·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적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항공정보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향상시켰습니다.
또한, 인터넷 등을 통해 국제표준형식으로 항공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국내외 이용자의 편리성도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항공사 등 정보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임시 비행제한사항 등에 대한 항공정보를 국내 공역현황과 함께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인쇄물 형태로 제공되는 항공정보간행물(AIP)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올해 하반기에는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활주로, 유도로 등 공항의 지리적 정보와 공항인근 장애물 정보를 디지털화된 3차원 정보로 제공할 계획이며, 이 시스템에 국제표준화*된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향후 지능화된 첨단 항공기 탑재장비, 위성기반 항행시스템 등의 디지털 환경에도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항공정보교환모델(AIXM: Aeronaut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 항공정보의 효율적인 공유를 위한 표준 정보 교환 모델
출처 : 국토교통부
'도정 군정 시정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본청.자치구 2017년 여름방학 '대학생 시정도우미(아르바이트)' 모집 (0) | 2017.05.15 |
---|---|
[서울시] 5월27일 광화문광장에서 미세먼지 해결 위한 2017 '3000인의 원탁회의' 개최 (2) | 2017.05.10 |
[관세청] 2017년 5월 황금연휴 기간 해외여행객 휴대품 면세범위 초과물품 집중 단속 (0) | 2017.04.27 |
[국토교통부] 항공 조종사 승무원 정비사 체험 '2017 제4회 청소년 항공교실' 운영 (2) | 2017.04.24 |
[서울시] 교실 밖 체험교육 '유아숲' 400개까지 확대 추진 (6) | 2017.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