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지리산과 소백산에서 각각 자연적응 중인 반달가슴곰과 여우가 새끼를 출산한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홈페이지 http://www.knps.or.kr/
이번에 출산한 반달가슴곰 2개체 중 1개체(KF-34)는 무인카메라로 1마리 새끼 출산을 확인하였고, 다른 개체(RF-25)는 현장 접근 불가로 인해 새끼 울음소리로만 1마리 출산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어미곰들은 교미기 동안 각각 다른 수컷과 함께 활동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후 바위굴에서 동면하던 올해(2017) 1월말 경에 출산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금번 출산한 어미곰 한 개체(KF-34)는 이번이 첫 출산이며, 다른 한 개체(RF-25)는 이번이 4번째 출산으로 지금까지 총 5마리의 새끼를 낳았습니다.
케이에프-34의 경우, 지리산에서 3세대가 출산한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3세대 출산이며, 알에프-25는 금년 출산으로 3개체(RF-21, RF-23, KF-27)와 함께 가장 많은 출산 이력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이번에 확인된 2마리 개체를 포함해 지리산국립공원에는 모두 47마리의 반달가슴곰이 살게 됐습니다.
소백산에서는 2016년에 이어 올해도 여우 2마리(CF-61, CF-1617)가 새끼 5마리를 출산하였습니다.
새끼들은 생후 약 40일 정도로 몸길이 25센티미터(cm) 몸무게 약 1킬로그램(kg) 정도 크기로 자랐습니다.
이번에 출산한 어미 여우는 2015~2016년에 중국에서 도입된 개체로 자연적응장에서 연방사를 통해 방사된 개체로, 방사 이후 적응장과 인근 지역에서 활동하다 4월말 출산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우는 보통 3~5월 사이에 체중이 약 100g 내외인 2~5마리의 새끼를 출산하며, 새끼는 출생 후 2주경 눈을 뜨고 3주가 되면 걷을 수 있고, 5주 후부터는 굴 밖에 나와 활동합니다.
송동주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원장은 “개체 추가 방사 및 증식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 확보에 노력할 계획”이라며, “지리산의 경우, 반달가슴곰의 서식지를 관통하는 샛길 이용 시 곰을 만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새끼를 동반한 암컷곰을 만날 경우 매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샛길 이용을 자제하는 등 탐방객과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 반달가슴곰 여우 관련 사진
○ 반달가슴곰을 만났을 때 행동요령
출처 : 환경부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리시 도심 체류형 친환경 가족캠핑장 조성사업 2017 7월 마무리, 8월 본격개장 예정 (4) | 2017.06.25 |
---|---|
서울시 여의도수영장 잠원수영장 양화물놀이장 개장 7월 초순으로 연기 (10) | 2017.06.22 |
[경기도] 소요산 산림욕장 여름꽃으로 새단장 마쳐 (6) | 2017.06.19 |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축령산자연휴양림 강씨봉자연휴양림, 2017 여름부터 추첨 예약제로 전환 (4) | 2017.06.16 |
[농촌진흥청] '전통향토음식 데이터베이스' 다음 카카오톡 장보기 메뉴에서 검색 가능 (4) | 2017.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