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2015년 11월 10일 서귀포 신산리 지역에 '제주 제2공항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
제주지역은 최근 저비용 항공시장의 활성화 및 중국인 관광객의 증가 등으로 비행기표를 구하기 어려울 정도로 항공 수요가 급증하여 공항시설 확충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제주공항수요 : (2005)1,135→(2010)1,572→(2012)1,844→(2014)2,320→(2015.9)1,928만명
*수요예측결과 : (2018)2,830→(2020)3,211→(2025)3,939→(2030)4,424→(2035)4,549만명
이에 따라 국토부는 ① 기존 제주공항을 대폭 확장하는 방안, ② 제주공항을 폐쇄하고 신공항을 건설하는 방안, ③ 제주공항을 유지하면서 제2공항을 건설하는 방안 등 총 3개 대안을 검토하였으며, 이 중 세 번째 대안이 가장 합리적인 방안으로 결정됐습니다.
기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은 제주공항을 바다 방향으로 대폭 확장(2배 규모)하는 방안으로, 대규모 바다매립(평균 50m 높이)이 불가피하여 해양환경 훼손과 공사비 과다(9.4조원) 등의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신공항을 건설하는 방안은 제주공항을 폐쇄하고 활주로 2본을 가진 대규모 신공항을 건설하는 방안으로, 환경 훼손이 크고 기존공항 폐쇄에 대해 제주도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제2공항 건설안은 제주공항을 그대로 운영하면서 활주로 1본의 신공항을 추가로 건설하는 방안으로, 환경 훼손이 적고 상대적으로 공사비도 적게 들어갈 뿐 아니라(4.1조원), 2개의 공항 운영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최적 대안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제2공항의 최적 입지로 검토된 신산은 기존 제주공항과 공역이 중첩되지 않아 비행절차 수립에 큰 문제가 없고 기상 조건이 좋으며 생태자연도가 높은 지역에 대한 환경 훼손이 타 지역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주변 소음지역 거주민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평가되는 등 다양한 공항입지 조건이 다른 후보지들 보다 뛰어나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제2공항 건설 입지가 결정됨에 따라 앞으로 국토부는 예비타당성조사(연말 착수예정), 설계 등의 절차를 조속히 시행하여 2025년 이전 새로운 공항을 개항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입니다.
※ 출처 : 국토교통부
'도정 군정 시정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부]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 - 2016학년도 수능 수험생 유의사항 안내 (0) | 2015.11.10 |
---|---|
[문화체육관광부] 2015 문화예술발전 유공자 총 32명 선정 발표 (0) | 2015.11.10 |
[서울시] 박원순 시장, 10월 한 달간 99개 일자리현장 방문한 '서울 일자리 대장정' 마무리 (2) | 2015.11.09 |
[산업통상자원부 발표] 2015년 10월 자동차 산업 동향, 대수 기준 생산 11.1%, 수출 7.5%, 국내판매 18.6% 증가 (0) | 2015.11.09 |
[교육부] 11월 9일부터 2016학년도 수능시험 문제지 및 답안지 배부 시작 (0) | 2015.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