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역은 KTX가 하루 8회 밖에 운행되지 않아 경기 남부권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10명 중 4명은 다른 열차를 이용하거나, 3명은 다른 역을 이용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경기도청 홈페이지 http://www.gg.go.kr/
이와 같은 내용은 경기연구원이 2015년 6월 4일부터 10일까지 수원역 이용자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신뢰도 95%, 오차범위 ±3.93%) 결과로, 경기연구원은 이를 토대로 2016년 1월 11일 '수원역 KTX 증편 전략 수립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조사 결과 수원역 이용자 중 절반 이상인 57.5%가 KTX를 이용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사유로는 운행횟수가 적다는 응답이 24.2%, 목적지까지 KTX가 운행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22.8%이며, 통행속도에 차이가 없다는 응답도 9.2%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KTX 운행횟수 부족으로 42.8%는 일반열차를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대체 열차로는 새마을호를 가장 많이 이용(56.8%)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2.5%는 다른 역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데, 광명역 41.2%, 서울역 36.2% 순이었습니다.
한편, KTX 운행횟수가 증편될 경우 수원역 이용자 66.5%는 KTX를 이용한다고 응답하여 증편 시 주변 철도역(광명역 등)으로부터의 전환수요보다는 자체 철도 이용객 증가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수서발 KTX가 개통되더라도 수원역 이용자의 68.3%는 현재와 같이 수원역을 이용할 것으로 대답했습니다.
박경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원역 KTX 확충 방안으로는 단순 증편보다는 수원역을 시발역으로 한 증편 방안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수원역 단순증편 방안은 현재도 선로용량이 부족한 경부선 서울~금천구청 구간의 용량 초과 문제가 발생하는 반면 수원역 시발역 방안은 경부선 수원~천안 구간 선로용량 여유로 수원역 KTX 횟수를 증가해도 선로용량에 지장이 없다는 것입니다.
바람직한 증편 횟수는 경부방향 12회, 호남방향 5회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박 연구위원은 또한 경부선 KTX 연결선 사업은 경기남부의 KTX 서비스 개선의 시급성을 감안하여 신속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출처 : 경기도
'도정 군정 시정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40년 장기미집행 '구.동해고속도로' 부지 매각작업 등 착수 (0) | 2016.01.11 |
---|---|
[경기도] 2016년 평화누리길 홍보대사에 배우 이광기, 박원휘 학생 위촉 (0) | 2016.01.11 |
[행정자치부] 민원24 홈페이지에 '연말정산 맞춤형 전용창구' 개설 안내 (0) | 2016.01.11 |
[경기도] 2017년부터 자동차세 등 지방세,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납부 가능 (0) | 2016.01.10 |
[국토교통부] 자동차결함신고센터, '자동차리콜센터'로 명칭 변경 - 자동차 결함정보 수집 기능 강화 (2) | 2016.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