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2015년 원양어업 참치(가다랑어) 생산량 가집계 결과 23만8,732톤을 생산하여 전년 22만9,588톤에 비해 4.0% 증가하여 역대 최대 어획고를 달성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와 같이 가다랑어의 어획량이 증가한 요인은 지난해 상반기에 엘리뇨의 영향으로 태평양에서 참치어장 확대에 따른 어획증가로 추정했습니다.
해양수산부 홈페이지 http://www.mof.go.kr/
다만, 참치(가다랑어) 어가는 국제유가 하락, 태국 등 참치 주요 수출국의 수요 감소로 인해 2014년 대비 10.3%가 줄었으며, 생산금액은 7.2%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지난해 전체 원양어업의 생산량은 57만7,355톤(1조214억원)으로 2014년 66만9,140톤(1조2,752억원)에 비해 13.7% 감소했으며, 최근 5년간 579,423톤(1조4,338억원) 평균 생산량 보다는 0.3% 감소했습니다.
주요 품목별 원양어업 생산량은 가다랑어 23만8,732톤(4%), 오징어류 15만772톤(△9.7%), 황다랑어 5만2,940톤(△17.3%), 남빙양새우(크릴) 2만264톤(△70%), 명태 2만12톤(△36.7%), 꽁치 1만1,204(△52.2%)톤 등이며, 생산금액은 1조214억원으로 전년 대비 19.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양수산부는 2015년도 원양어업 생산량 감소 요인은 수출부진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어획량 축소(남빙양새우, 오징어), 외국수역 어획쿼터 감소(명태), 어장 생산성 저하(꽁치) 등으로 추정했습니다.
2016년 원양어업 생산전망은 엘리뇨, 라니냐 등 해양환경 변화에 영향 정도에 따라서 생산량의 증감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원양어업 생산량 중 55%를 차지하고 있는 참치의 경우 올해 하반기 라니냐 현상과 태평양 수역의 수익성 저조로 다랑어류 어획감소가 예상되며 오징어, 명태, 꽁치, 남빙양 새우 등도 쿼터물량 감축, 조업어선 감척, 계약물량 미확보 등으로 다소 어려움이 예상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국제수산기구 및 연안국과의 투자협력 강화를 통한 추가 어획쿼터 확보와 어업비용 절감을 위한 원양어선 현대화, 유류절감 고효율 LED 지원 등의 사업지원 확대를 통해 원양어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가다랑어의 생태적 특징
어 종 명 |
가다랑어 | ||
영 명 |
Skipjack tuna |
일 명 |
カツオ (Katsuo) |
학 명 |
Katsuwonus pelamis |
명명자 |
Linnaeus |
목(ORDER) |
Perciformes |
과(FAMILY) |
Scombridae |
그 림 |
| ||
분 포 |
전 대양(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채집지역> 일본, 중서부태평양 | ||
특 징 |
- 형태 : 몸은 방추형이며, 꼬리자루가 매우 잘록하다. 등지느러미는 2개로 극조부가 연조부보다 높이도 높고 기저의 길이도 길다. 극조부의 경우 3번째 가시까지는 매우 길지만 4번째부터 현저히 줄어든다. 머리끝은 뾰족하며 윗가장자리와 아랫가장자리는 부드러운 곡선을 그린다. 입은 크며 약간 경사져 있고 위턱의 뒤끝은 동공 중앙 아래에 달한다. 눈 앞쪽에는 2쌍의 비공이 있으며, 전비공은 매우 작은 구멍 모양이고 후비공은 칼로 찢은 형태이다. 가슴지느러미는 몸의 중앙에 위치하며 끝은 등지느러미 9번째 가시의 아래쪽까지 뻗어 있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연조부의 중앙 아래에서 부터 시작되며 크기는 등지느러미 연조부와 비슷하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뒤쪽으로는 7~8개 가량의 토막지느러미가 발달해 있다. 꼬리자루 부위에는 1개의 발달 된 융기연이 있으며, 꼬리지느러미 기저에는 융기연 좌우로 1쌍의 작은 융기연이 나타난다. 꼬리지느러미는 반월형이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유영시 몸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홈이 파여져 있다. 몸은 유린역과 무린역으로 나누어지는데, 가슴지느러미를 경계로 등쪽이 유린역이고 배쪽이 무린역이다. 양턱에는 매우 가느다란 이빨이 1줄로 나있다.
- 체색 : 몸 등쪽은 짙은 청색을 띠며 체측의 중앙에서부터는 은백색을 띠는데 4~5줄 가량의 몸을 가로지르는 암청색의 종대가 나타난다. 각 지느러미의 줄기는 황색 혹은 암갈색을 띠며 지느러미막은 희거나 투명하다. 토막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전체적으로 검지만 바깥쪽 가장자리는 희다.
- 생태 : 대표적인 부어성 어종으로 서식 수역이 광범위하며, 수온 15~30℃에서 살 수 있다. 군집을 이루어 생활하며, 특히 수온 전선대에 많이 서식한다. 낮동안에는 표층에서 260m 이내의 범위에 있으나 밤에는 거의 표층 근처에 있다. 적도 수역에서는 연중 산란을 하며, 아열대 수역에서는 봄~가을 동안에 산란한다. 먹이는 주로 이른 아침과 해질 무렵에 먹으며, 어류, 갑각류와 오징어류 등을 먹는다. 최대 수명은 약 8~12년이며 최대 체장 108cm까지 성장한다. 체장 약 45cm 이상이면 산란에 가입한다. |
○ 2011~2015년 원양어업 연도별 생산량 비교 (단위 : M/T , 백만원)
년도 어종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생산량 |
생산금액 |
생산량 |
생산금액 |
생산량 |
생산금액 |
생산량 |
생산금액 |
생산량 |
생산금액 | |
합 계 |
510,624 |
1,467,043 |
575,308 |
1,655,406 |
549,928 |
1,408,034 |
669,140 |
1,275,222 |
577,355 |
1,021,416 |
가오리류 |
3,293 |
6,443 |
3,293 |
6,090 |
2,052 |
5,291 |
1,775 |
4,487 |
1,540 |
4,113 |
가자미류 |
14 |
67 |
3 |
12 |
6 |
28 |
0 |
0 |
1 |
2 |
갈치 |
432 |
720 |
1,800 |
6,215 |
558 |
1,410 |
188 |
417 |
36 |
62 |
고등어 |
111 |
113 |
272 |
263 |
303 |
208 |
1,107 |
1,011 |
174 |
92 |
꽁치 |
18,068 |
31,802 |
13,961 |
20,855 |
20,055 |
33,640 |
23,431 |
33,433 |
11,204 |
20,254 |
넙치류 |
2 |
1 |
2 |
1 |
42 |
42 |
23 |
21 |
0 |
0 |
능성어 |
149 |
596 |
213 |
852 |
508 |
1,379 |
370 |
633 |
0 |
0 |
가다랑어 |
173,334 |
344,770 |
211,891 |
563,027 |
200,866 |
427,513 |
229,588 |
329,163 |
238,732 |
307,001 |
날개다랑어 |
1,410 |
4,653 |
1,951 |
6,840 |
1,995 |
5,707 |
1,310 |
3,424 |
1,204 |
2,979 |
남부다랑어 |
596 |
15,099 |
795 |
25,438 |
765 |
10,575 |
783 |
11,911 |
931 |
14,038 |
눈다랑어 |
22,985 |
266,201 |
24,721 |
255,183 |
21,648 |
155,528 |
22,888 |
134,932 |
22,398 |
122,443 |
참다랑어 |
|
|
77 |
1,232 |
80 |
1,280 |
213 |
1,853 |
0 |
0 |
황다랑어 |
45,736 |
168,034 |
60,436 |
170,733 |
44,013 |
133,170 |
63,971 |
163,068 |
52,940 |
114,965 |
기타다랑어 |
876 |
5,328 |
853 |
2,361 |
953 |
1,704 |
671 |
1,051 |
941 |
2,002 |
달고기 |
|
|
1 |
1 |
0 |
0 |
8 |
4 |
0 |
0 |
대구 |
4,276 |
10,464 |
4,039 |
8,675 |
2,300 |
5,018 |
2,415 |
8,426 |
3,536 |
11,584 |
민대구 |
4,763 |
13,136 |
4,007 |
11,090 |
3,819 |
10,912 |
3,162 |
8,689 |
5,996 |
17,863 |
붉은대구 |
787 |
1,984 |
414 |
1,066 |
320 |
484 |
355 |
619 |
235 |
406 |
은대구 |
|
|
2 |
0 |
0 |
0 |
0 |
0 |
9 |
18 |
기타대구 |
87 |
139 |
68 |
125 |
68 |
118 |
287 |
456 |
95 |
157 |
도미류 |
|
|
|
|
0 |
0 |
0 |
0 |
0 |
0 |
갈돔 |
|
|
0 |
0 |
0 |
0 |
28 |
99 |
55 |
133 |
금눈돔 |
855 |
14 |
1,027 |
1,469 |
821 |
1,540 |
139 |
709 |
186 |
948 |
샛돔 |
704 |
1,846 |
247 |
768 |
533 |
1,424 |
219 |
617 |
893 |
1,923 |
통돔 |
|
|
|
|
256 |
276 |
221 |
239 |
28 |
127 |
하스돔 |
|
|
|
|
534 |
467 |
516 |
430 |
65 |
108 |
기타돔 |
5,274 |
20,489 |
9,430 |
46,141 |
6,726 |
26,244 |
4,000 |
14,758 |
2,081 |
5,885 |
명태 |
48,793 |
67,307 |
39,025 |
45,972 |
24,341 |
32,662 |
31,624 |
49,479 |
20,012 |
33,662 |
메로(이빨고기) |
3,002 |
28,605 |
2,467 |
22,848 |
3,183 |
58,897 |
2,337 |
49,843 |
2,920 |
65,866 |
민어류 |
14,739 |
64,208 |
12,294 |
84,465 |
12,511 |
103,745 |
6,539 |
41,657 |
1,219 |
12,712 |
꼬리민태 |
0 |
0 |
0 |
0 |
0 |
0 |
0 |
0 |
442 |
797 |
새꼬리민태 |
12,447 |
25,922 |
10,100 |
21,540 |
8,261 |
14,960 |
8,681 |
18,209 |
5,589 |
11,748 |
붉은메기 |
2,105 |
7,931 |
1,986 |
8,742 |
1,316 |
5,487 |
1,674 |
6,815 |
1,331 |
5,213 |
방어류 |
|
|
1 |
1 |
13 |
12 |
8 |
11 |
0 |
0 |
복어류 |
35 |
89 |
60 |
123 |
152 |
244 |
18 |
40 |
4 |
10 |
볼락류 |
12 |
0 |
44 |
67 |
8 |
11 |
0 |
0 |
0 |
0 |
붕장어류 |
81 |
201 |
22 |
74 |
4 |
16 |
338 |
625 |
225 |
239 |
삼치류 |
4,583 |
6,426 |
5,365 |
9,236 |
2,025 |
2,237 |
1,689 |
1,619 |
1,793 |
2,380 |
통치(은삼치) |
17 |
45 |
2 |
5 |
4 |
11 |
32 |
142 |
1 |
2 |
상어류 |
2,964 |
4,346 |
2,445 |
2,874 |
1,856 |
2,359 |
1,572 |
2,595 |
1,108 |
1,214 |
녹새치 |
1,329 |
4,289 |
1,413 |
4,969 |
1,628 |
4,583 |
1,790 |
4,400 |
1,926 |
4,564 |
돛새치 |
6 |
7 |
7 |
13 |
4 |
10 |
7 |
17 |
4 |
5 |
백새치 |
3 |
11 |
|
|
32 |
78 |
4 |
10 |
6 |
15 |
청새치 |
99 |
417 |
60 |
225 |
45 |
130 |
94 |
252 |
45 |
163 |
황새치 |
1,729 |
12,364 |
1,584 |
11,129 |
1,952 |
9,539 |
1,565 |
7,866 |
1,836 |
9,068 |
흑새치 |
323 |
785 |
137 |
77 |
14 |
36 |
53 |
136 |
54 |
140 |
기타새치 |
2,667 |
4,743 |
1,410 |
2,917 |
914 |
1,399 |
825 |
1,309 |
497 |
950 |
서대류 |
1,817 |
5,766 |
1,885 |
7,642 |
1,545 |
9,185 |
675 |
4,211 |
363 |
2,943 |
성대류 |
0 |
0 |
1 |
1 |
0 |
0 |
17 |
94 |
15 |
13 |
적어 |
263 |
349 |
223 |
326 |
119 |
210 |
53 |
95 |
132 |
283 |
정어리 |
17 |
10 |
5,128 |
2,886 |
4,456 |
2,270 |
7,633 |
5,360 |
5,517 |
3,170 |
전갱이류 |
9,412 |
15,551 |
7,693 |
6,431 |
10,653 |
12,461 |
7,055 |
7,525 |
6,878 |
5,855 |
조기류 |
1,729 |
6,044 |
912 |
4,907 |
760 |
2,565 |
587 |
1,859 |
0 |
0 |
청어 |
196 |
151 |
122 |
182 |
55 |
45 |
40 |
19 |
50 |
53 |
촉수류 |
|
|
307 |
51 |
228 |
127 |
116 |
73 |
0 |
0 |
홍어 |
1,521 |
4,168 |
928 |
2,256 |
703 |
1,773 |
487 |
1,006 |
766 |
2,006 |
기타어류 |
20,344 |
35,576 |
28,846 |
43,349 |
21,373 |
31,919 |
14,402 |
22,146 |
7,091 |
16,529 |
게류 |
|
|
|
|
1,016 |
1,269 |
440 |
550 |
965 |
1,206 |
남빙양새우 |
24,362 |
32,000 |
25,956 |
36,305 |
38,117 |
55,933 |
51,889 |
65,895 |
20,264 |
22,541 |
기타새우 |
218 |
3,196 |
195 |
2,733 |
264 |
3,053 |
124 |
1,068 |
6 |
66 |
새우류 |
3 |
15 |
0 |
0 |
0 |
0 |
1 |
5 |
0 |
0 |
기타갑각류 |
122 |
147 |
54 |
68 |
0 |
0 |
4 |
4 |
0 |
0 |
갑오징어 |
1,089 |
1,796 |
1,026 |
3,295 |
794 |
1,574 |
665 |
1,034 |
698 |
2,806 |
문어류 |
6 |
16 |
218 |
633 |
179 |
627 |
311 |
684 |
860 |
2,322 |
오징어류 |
70,130 |
240,293 |
81,526 |
193,081 |
100,129 |
219,647 |
167,023 |
254,684 |
150,772 |
183,209 |
한치류 |
709 |
2,370 |
1,995 |
6,849 |
2,052 |
5,001 |
643 |
2,272 |
686 |
2,563 |
기타연체동물 |
|
|
368 |
695 |
1 |
2 |
457 |
1,165 |
0 |
0 |
※ 출처 : 해양수산부
'도정 군정 시정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2016년 1학기 '경기 청년 및 대학생 인턴 지원사업' 추진, 270명 모집 (0) | 2016.02.05 |
---|---|
구리-포천고속도로 개통과 포천 지역발전 연계방안 모색 세미나 개최 (2) | 2016.02.05 |
[외교부] 네팔, 몰디브, 우크라이나, 나이지리아 일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5개국 여행경보단계 조정 (2) | 2016.02.04 |
[경기도] 국공립어린이집 부족 해소 위한 경기도형 공보육 추진 계획 발표 (0) | 2016.02.04 |
[가평군] 한국전쟁 미군 참전 기념비 제막식 거행 (0) | 2016.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