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이나 날씨에 상관없이 숲을 교실로, 숲 속의 모든 자연물을 장난감 삼아 자연 속에서 직접 체험하며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다지는 유아숲 교육은 1950년대 덴마크에서 처음 시작, 숲유치원 형태로 유럽 전역으로 널리 확산됐고, 독일에서만 1,000여 개에 이를 정도로 활성화되었습니다.
서울시청 홈페이지 http://www.seoul.go.kr/main/index.html
국내에도 교실에서의 정형화된 주입식 교육방식에서 탈피한 자연 속 전인적 성장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학부모들의 호응과 요구가 높아진 가운데, 2008년 산림청이 도입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서울시는 2011년 전국 최초로 유아숲체험장을 조성하기 시작해 현재 전국에서 가장 많은 41개소(40만3,400평방미터(㎡))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그동안 51만7,676명(2012년 5월 ~ 2016년 12월 평일이용 누계)이 이용했습니다.
다만 서울은 대도시 특성과 숲 면적 등을 고려해 시가 유아숲을 조성하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의 신청을 받아 공간을 개방하는 방식으로 우리 실정에 맞게 도입했습니다.
서울시 유아숲 체험시설은 공원 내 나무가 울창한 숲 속 평지와 완만한 경사지를 대상으로 부지를 선정, 진입로, 숲길 등에 잡목을 정리하고 벌집 등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거한 뒤, 과도한 시설물은 최대한 지양하고 돌과 나무를 이용해 간단한 구조물과 안전시설을 설치하는 식으로 조성합니다.
기존의 생태연못, 계곡, 자연학습장 등과도 연계 운영합니다.
서울시가 이러한 현장 요구에 부응해 유아숲을 2023년까지 현재의 10배 수준인 400개까지 대폭 확대합니다.
집이나 어린이집, 유치원에서 최대한 쉽게 갈 수 있도록 뒷산이나 하천변까지 곳곳을 발굴해 동네마다 마을마다 촘촘히 늘려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어린이집‧유치원 유아 이용이 없는 주말이나 평일 오후 시간에는 ADHD(과잉행동장애), 스마트폰‧게임 중독 위험 등 아동을 대상으로 한 특화 치유 프로그램도 운영, 사교육 스트레스(압박감)나 디지털‧기술 중독 같은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정신적‧심리적 치유 기능도 강화합니다.
유아숲 체험시설 운영방식을 개선해 정기이용 어린이집‧유치원을 3배로 확대하고, 숲교육 프로그램 전문인력인 '유아숲지도사'를 시설당 1명씩 확대 배치합니다.
아직은 생소한 숲교육 인식 확산을 위해 어린이집‧유치원 교사와 학부모 대상 ‘찾아가는 숲교육 아카데미’를 올해부터 새로 운영합니다.
또, 41개 어린이집‧유치원을 ‘서울형 유아숲교육 시범기관’으로 선정 완료, 주3회 집중 숲교육을 진행해 ‘서울형 유아숲교육 모델’을 정립하고 연내 매뉴얼 개발에도 착수합니다.
서울시는 이런 유아숲에 대한 양적‧질적 확대를 통해 도시 숲을 교육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공간으로 활용, 생애주기별 녹색복지 프로그램의 하나로 자리매김시켜 나가겠다고 2017년 4월 17일(월) 밝혔습니다.
숲교육의 교육적‧정서적 효과는 이미 국내‧외 연구를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산림청 조사에 따르면 숲교육 전후로 학습능력, 환경감수성, 면역력, 사회성이 발달되고 인지적(IQ), 정서적(EQ), 사회적(SQ) 자아개념 확립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패터 헤프너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취학 전 숲교육을 경험한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동기부여‧인내력‧집중력, 사회성, 수업참여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 유아숲 체험시설 조성‧운영에 있어서 올해부터 달라지는 점은 크게 5가지입니다.
① 유아숲 체험시설 확대(2016년 41개소→2023년 400개소)
② 유형 다양화(기존 '유아숲체험장'→'유아숲체험원', '유아숲체험장', '유아동네숲터')
③ 운영방식 개선을 통한 이용기관 확대(시설별 하루 최대 2개 기관 이용→6개 기관)
④ 유아숲 체험시설 이용 대상자 확대(유아→유아, 청소년, 학부모, 교사 등)
⑤ '서울형 유아숲교육 시범기관' 신규 운영입니다.
최광빈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과거 초기 단계의 유아숲체험장이 시설물 위주였다면 앞으로는 숲 자체를 교육의 장으로 내실을 강화하고 동네마다 마을마다 크고 작은 숲을 발굴 조성해 생애주기별 녹색복지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해나가겠다”며 “서울형 유아숲교육 시범기관 운영과 민관 운영협의체를 통해 대도시 서울 아이들의 상황에 맞는 한국형 모델을 확립, 교육은 물론 치유의 효과를 높여나가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2017 유아숲체험장 운영 대상지 위치도. 주소
연번 |
관리기관 |
공원명 |
위 치 |
규모(㎡) |
조성연도 |
문의처(국번02) |
1 |
용산구 |
응봉공원 |
한남동 산8-1 |
10,100 |
2012 |
2199-7595 |
2 |
강서구 |
우장공원 |
내발산동 산19-1 |
8,600 |
2012 |
2600-4112 |
3 |
관악구 |
관악산공원 |
청룡동 산175-36 |
9,700 |
2012 |
879-6525 |
4 |
중부공원 녹지사업소 |
남산공원 |
한남동 772-1 |
10,000 |
2013 |
3783-5991 |
5 |
종로구 |
삼청공원 |
삼청동 산2-1 |
13,000 |
2013 |
2148-2844 |
6 |
동대문구 |
배봉산공원 |
휘경동 산6-83 |
10,000 |
2013 |
2127-4775 |
7 |
성북구 |
개운산공원 |
돈암동 산6-1 |
9,000 |
2013 |
2241-3664 |
8 |
강북구 |
오동공원 |
번동 산23-17 |
8,000 |
2013 |
901-6935 |
9 |
노원구 |
수락산공원 |
상계동 산155-1 (동막골지구) |
13,000 |
2013 |
2116-3966 |
10 |
마포구 |
상암공원 |
상암동 산26-38 |
15,000 |
2013 |
3153-9557 |
11 |
금천구 |
관악산공원 |
독산동 산199-1 (독산지구) |
12,000 |
2013 |
2627-1655 |
12 |
송파구 |
장지공원 |
장지동 851 |
8,000 |
2013 |
2147-3394 |
13 |
중랑구 |
용마산공원 |
면목동 31-25 |
10,000 |
2014 |
2094-2385 |
14 |
도봉구 |
초안산공원 |
창동 산24 |
10,000 |
2014 |
2091-3782 |
15 |
은평구 |
서오릉공원 |
진관동 390 |
10,000 |
2014 |
351-8005 |
16 |
서대문구 |
인왕산공원 |
홍제동 산1-1 |
10,000 |
2014 |
330-1907 |
17 |
구로구 |
개웅산공원 |
개봉동 산53-3 |
11,000 |
2014 |
860-3084 |
18 |
서초구 |
문화예술공원 |
양재동 200 |
14,000 |
2014 |
2155-6873 |
19 |
동부공원 녹지사업소 |
서울숲공원 |
성수동1가 685-124 |
10,000 |
2015 |
460-2931 |
20 |
도봉구 |
쌍문공원 |
쌍문4동 산82 |
13,000 |
2015 |
2091-3782 |
21 |
노원구 |
영축산공원 |
월계동 산130 |
13,000 |
2015 |
2116-3966 |
22 |
은평구 |
신사공원 |
신사동 98-46 |
11,000 |
2015 |
351-8005 |
23 |
양천구 |
계남공원 |
신정3동 621 |
10,000 |
2015 |
2620-3586 |
24 |
동작구 |
현충공원 |
상도1동 산49-36 |
13,000 |
2015 |
820-9845 |
25 |
서초구 |
우면산공원 |
서초동 산36-6 |
10,000 |
2015 |
2155-6873 |
26 |
강남구 |
대모산공원 |
일원동 436-6 |
10,000 |
2015 |
3423-6256 |
27 |
송파구 |
오금공원 |
오금동 51 |
10,000 |
2015 |
2147-3394 |
28 |
강동구 |
일자산공원 |
둔촌동 산102-4 |
13,000 |
2015 |
3425-6444 |
29 |
중부공원 녹지사업소 |
장충공원 |
장충동 2가 산14-21 |
5,000 |
2016 |
3783-5991 |
30 |
종로구 |
숭인공원 등 |
동숭동 산2-32 |
15,000 |
2016 |
2148-2844 |
31 |
성동구 |
응봉공원 |
금호1가동 산37-1 |
8,000 |
2016 |
2286-5672 |
32 |
광진구 |
용마공원 |
중곡동 143-146 |
10,000 |
2016 |
450-7773 |
33 |
중랑구 |
봉화산공원 |
묵동 산41-11 |
12,000 |
2016 |
2094-2385 |
34 |
강북구 |
북한산공원 |
미아동 산108-19 |
10,000 |
2016 |
901-6935 |
35 |
노원구 |
불암산공원 |
중계동 산95-1 |
12,000 |
2017 상반기 예정 |
2116-3966 |
36 |
서대문구 |
백련공원 |
홍은동 산19-19 |
10,000 |
2016 |
330-1907 |
37 |
양천구 |
용왕산공원 |
목동 199-51 |
10,000 |
2016 |
2620-3586 |
38 |
강서구 |
꿩고개공원 |
방화3동 산136-6 |
8,000 |
2016 |
2600-4112 |
39 |
영등포구 |
영등포공원 |
영등포본동 582-3 |
6,000 |
2016 |
2670-3717 |
40 |
동작구 |
상도공원 |
상도동 531-15 |
10,000 |
2016 |
820-9845 |
41 |
강동구 |
명일공원 |
상일동 산26-6 |
10,000 |
2016 |
3425-6444 |
출처 : 서울특별시
'도정 군정 시정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청] 2017년 5월 황금연휴 기간 해외여행객 휴대품 면세범위 초과물품 집중 단속 (0) | 2017.04.27 |
---|---|
[국토교통부] 항공 조종사 승무원 정비사 체험 '2017 제4회 청소년 항공교실' 운영 (2) | 2017.04.24 |
[경기도 고양시] 행주대교 김포대교 구간 수변누리길 연결 군 철책선 47년 만에 제거 (8) | 2017.04.18 |
서울시 청년 임차보증금 '최대 2,000만원 최장 8년간' 대출 알선 후 2% 이자 지원 (0) | 2017.04.17 |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활용 대학생 공공기숙사 공급 추진 (0) | 2017.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