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향후 10년간(2016년 ~ 2025년) 국가철도망에 대한 투자계획을 담은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안)'을 마련, ‘철도산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
이번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은 「철도건설법」에 따른 10년 단위 중장기 법정계획으로서, 철도망 구축의 기본 방향과 노선 확충계획, 소요재원 조달방안 등을 담고 있으며,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의 용역결과를 토대로 공청회 (2016년 2월 4일), 전문가 토론회, 지자체를 포함한 관계기관의 폭 넓은 의견수렴을 거쳐 확정되었습니다.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 ~ 2025)'은 '국민행복과 지역 발전을 실현하는 철도'를 구축하겠다는 비전(전망) 아래, 6대 추진방향을 토대로 검토되었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6대 추진방향
① 첫 번째로, 기 추진 중인 고속철도 사업의 적기 완공, 일반철도 고속화를 통해 고속·준고속 철도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우선, 기존 고속철도에 대한 연장구간 건설과 수도권 고속철도 완공(2016년 말)을 통해 전국 주요거점을 연결하는 고속철도망을 구축하고, 고속열차의 원활한 운행을 위한 병목구간 해소, 고속철도 서비스 지역 확대를 위한 연결선 사업이 추진됩니다.
또한, 철도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에 고속화철도(200km/h 이상)를 건설하고, 낙후된 기존 일반철도를 고속화(230km/h)하는 사업도 추진될 예정입니다.
② 두 번째로, 광역 교통체계의 혁신을 위한 광역철도(급행노선 포함)를 구축하여 주요 도시에 광역철도 서비스 제공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 건설을 통해 수도권 주요거점간 30분 통행을 실현하고, 이미 시행 중인 10개 수도권 광역철도 사업도 적기에 완공하며,
대량의 통행수요가 발생하는 수도권 대단위 택지개발지역에 광역철도망 공급과 충청권, 대구권 등 지역 광역통행을 위한 철도망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③ 세 번째로, 비전철과 전철이 혼재되어 전철운행이 불가능한 주요 간선을 전철화시키는 사업도 추진합니다.
장항선, 경전선, 동해선, 경북선 비전철 구간의 전철화를 추진하여 해당 노선의 열차속도 향상, 전철운행, 열차운영편성 증가 등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운영효율성이 확보될 전망입니다.
④ 네 번째로, 산업단지ㆍ물류거점을 연결하는 대량수송 철도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계획입니다.
국내 화물운송에 있어 친환경 운송수단인 철도의 역할 증대를 위해 핵심 물류거점인 항만, 산업단지, 내륙화물기지를 간선 철도망과 연결하는 인입철도 건설을 추진하게 됩니다.
한편, 제3차 철도망계획에 따라 2016~2025년 기간 동안 철도망 확충에 총 70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부문별로는 고속철도 8조원, 일반철도 38조원, 광역철도 24조원이 소요될 전망이며, 재원 구성은 국비 43조원, 지방비 3조원, 민자유치.공기업.기타 24조원으로 국가 재정운용 여건을 고려한 다각적인 재원확보 필요성이 투자계획에 반영되었으며,
투자재원 중 국고의 경우에는 국가재정운용계획상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감축 기조에 따라 제2차 철도망구축계획보다 규모를 축소했습니다.
* 2015년까지 23.6조원, 2016~2020년 22.0조원, 2021~2025년 21.1조원
아울러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막대한 부채는(2015년도말 현재 19조원대) 원활한 투자재원 확보에 심대한 장애인 점을 감안, 2016년 이내에 단위선로사용료 도입 및 선로사용료 현실화를 통해 공단 부채를 조속히 상환하는 등 부채를 적정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특단의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철도망 확충이 차질 없이 이루어질 경우 고속·준고속철도 철도망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며, “철도망의 효율화 사업에 중점을 두어 낮은 비용으로 철도 서비스 수준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이용측면에서도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비율이 절반 이상(46→60%)으로 확대”되고, “200km/h 이상의 고속화 철도까지 포함하면 전체 인구의 85%가 고속화된 철도의 수혜”를 받게 되어 “국민들의 교통복지 수준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이와 더불어 “100만명의 고용유발 효과와 140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생산유발 효과+임금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 철도 36개 신규사업 현황
|
노 선 명 |
사업구간 |
사업내용 |
연장(km) |
총 사업비(억원) |
① 운영효율성 제고사업 | |||||
고속 |
경부고속선 |
수색~서울~금천구청 |
복선전철 |
30.0 |
19,170 |
평택~오송 |
2복선전철 |
47.5 |
29,419 | ||
일반 |
중앙선 |
용산~청량리~망우 |
2복선전철 |
17.3 |
13,280 |
수서광주선 |
수서~광주 |
복선전철 |
19.2 |
8,935 | |
경전선 |
진주~광양 |
전철화 |
57.0 |
1,524 | |
광주송정∼순천 |
단선전철화 |
116.5 |
20,304 | ||
장항선 |
신창∼대야 |
복선전철화 |
121.6 |
7,927 | |
동해선 |
포항~동해 |
전철화 |
178.7 |
2,410 | |
문경․점촌선 |
문경~점촌~김천 |
단선전철화 |
73.0 |
13,714 | |
경전선 |
보성~목포* |
단선전철화 |
82.5 |
1,702 | |
경북선 |
점촌~영주* |
단선전철화 |
56 |
980 | |
소계(11개 사업) |
799.3 |
119,365 | |||
② 지역거점 간 고속연결 사업 | |||||
일반 |
어천 연결선 |
어천역~경부고속선 |
복선전철(직결선) |
2.4 |
1,540 |
지제 연결선 |
서정리역~수도권고속선 |
복선전철(직결선) |
4.7 |
2,800 | |
남부내륙선 |
김천~거제 |
단선전철 |
181.6 |
47,440 | |
강원선 |
춘천~속초 |
단선전철 |
94.0 |
19,632 | |
평택부발선 |
평택~부발 |
단선전철 |
53.8 |
16,266 | |
소계(5개 사업) |
336.5 |
87,678 | |||
③ 노후시설 개량 사업 | |||||
일반 |
충북선 |
조치원~봉양 |
고속화 |
82.8 |
4,606 |
호남선 |
가수원~논산* |
고속화 |
29.3 |
4,596 | |
소계(2개 사업) |
112.1 |
9,202 | |||
④ 대도시권 교통난 해소사업 | |||||
광역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
송도~청량리 |
복선전철 |
48.7 |
58,319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
의정부~금정 |
복선전철 |
45.8 |
30,736 | |
신분당선 |
호매실~봉담 |
복선전철 |
7.1 |
6,728 | |
신분당선서북부 연장 |
동빙고~삼송 |
복선전철 |
21.7 |
12,119 | |
원종홍대선 |
원종~홍대입구 |
복선전철 |
16.3 |
21,664 | |
위례과천선 |
복정~경마공원 |
복선전철 |
15.2 |
12,245 | |
도봉산포천선 |
도봉산~포천 |
복선전철 |
29.0 |
18,076 | |
일산선 연장 |
대화~운정 |
복선전철 |
7.6 |
8,383 | |
서울 9호선 연장 |
강일~미사* |
복선전철 |
1.4 |
1,891 | |
충청권 광역철도(2단계) |
신탄진~조치원1) |
2복선전철(기존선) |
22.5 |
5,081 | |
소계(10개 사업) |
215.3 |
175,242 | |||
⑤ 철도물류 활성화 사업 | |||||
일반 |
새만금선 |
대야~새만금항 |
단선전철 |
43.1 |
6,160 |
구미산단선 |
사곡~구미산단 |
단선철도 |
11.0 |
2,472 | |
아산석문 산단선 |
합덕~아산․석문산단 |
단선철도 |
36.5 |
6,991 | |
대구산업선 |
서대구~대합산단 |
단선전철 |
40.1 |
8,164 | |
동해신항선 |
삼척해변정거장~동해항 |
단선철도 |
3.6 |
578 | |
인천신항선 |
월곶~인천신항 |
단선철도 |
12.5 |
5,470 | |
부산신항 연결지선 |
부산신항선~부전마산선 |
단선전철(연결선) |
4.4 |
1,502 | |
소계(7개 사업) |
151.2 |
31,337 | |||
⑥ 한반도 통합철도망 구축사업 | |||||
일반 |
동해선 |
강릉∼제진 |
단선전철 |
104.6 |
23,490 |
소계(1개 사업) |
104.6 |
23,490 | |||
총 계(36개 사업) |
1,719.7 |
446,314 |
출처 : 국토교통부
'도정 군정 시정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SNS 사진 글 영상, 광고 등에 마음대로 사용 못한다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불공정 이용약관 시정 (10) | 2016.06.28 |
---|---|
[국토교통부] 영남권 신공항 선정관련 ADPi 입지평가 결과 '김해 신공항'이 최적지로 결론 (종합) (8) | 2016.06.21 |
[서울시] 2016 몰카 점검단 '여성안심보안관' 50명 첫 모집, 8월부터 4개월간 활동 (0) | 2016.06.17 |
[산림청] 2016년 연말까지 등산로 정보 확대 개방, 정확도 개선 (4) | 2016.06.06 |
[국토교통부]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으로 경유차 감축, 전기차.수소차 확산, 생활환경 개선 등 추진 (4) | 2016.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