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도내 대중교통 취약지역의 교통여건 개선을 위해 운영 중인 '따복(따뜻하고 복된)버스' 노선을 기존 12개에서 19개로 확대한다고 2017년 2월 26일 발표했습니다.
경기도청 홈페이지 http://www.gg.go.kr/
따복버스는 도내 벽지.오지 등 교통취약지역, 산업단지, 관광지 등을 대상으로 운행하는 경기도의 맞춤형 교통복지 수단입니다.
이들 지역은 특정 요일이나 시간대에만 이용수요가 발생해 운송업체가 정규 노선 편성을 기피하는 곳입니다.
도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2015년 처음 따복버스를 도입했으며, 현재 가평, 김포 등 7개 시군, 12개 노선이 운행 중입니다.
이번에 신설하는 노선은 광명, 군포, 김포, 수원, 시흥, 포천, 화성 등 7개 시(市)에 각각 1개 노선씩, 총 7개 노선입니다.
이번에 신설된 노선들을 살펴보면
수원지역은 고색산단(산업단지)~수원역~경기도청 출퇴근 노선과 민원인 방문을 돕는 생활노선,
광명지역은 원거리통학노선과 광명동굴 등 관광노선,
군포지역은 첨단산단(산업단지), 택지지구와 의왕역.대야미역을 연계하는 산단.통학노선,
김포지역은 노인들의 도시접근성을 높이는 생활노선과 카톨릭문화원 등 한강주변 관광노선,
시흥지역은 원거리통학노선과 물왕저수지를 다니는 관광노선,
포천지역은 송우리 방면 통학노선과 고모리카페촌.국립수목원을 다니는 관광노선,
화성지역은 노하.덕우공단 등 공장밀집지대를 다니는 통근노선이 운행될 예정입니다.
신설 노선들은 운행준비를 마친 후 오는 2017년 4월부터 순차적으로 운행을 개시할 예정입니다.
경기도 장영근 교통국장은 “이번 따복버스 운행 노선 확대를 통해 도민들의 교통편의 증진은 물론, 산단 지역의 고용촉진과 관광객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 따복버스 2017년 신설노선 세부사항
노선 연번 |
시군 |
노선번호 |
운영계획 |
노선유형 |
주요특징 |
운행대수 (대) |
1 |
광명 |
5A |
평일 |
통학, 생활노선 |
・고교평준화 원거리 통학 ・도심․KTX광명역 연계 |
7 |
5B |
주말,방학 |
관광노선 |
・광명동굴, 밤일음식문화거리 |
|||
2 |
군포 |
90-A |
출퇴근 |
산단, 통학노선 |
・원거리 통학, 첨단산단, 송정택지 ・의왕역, 대야미역 연계 |
2 |
90-B |
낮시간대, 주말 |
생활, 관광노선 |
・수리산 도립공원, 초막골생태공원 |
|||
3 |
김포 |
4 |
평일,주말 |
생활, 관광노선 |
・노인 도심접근(병원) ・한강 주요 관광지(카톨릭문화원 등) |
2(평일) 1(주말) |
4-1 |
주말 |
관광노선 |
・태산가족공원 |
1 |
||
4 |
수원 |
123A |
출퇴근 (평일,주말) |
통근, 산단노선 |
・수원역~산업단지(1,2,3산단) 연계 ・수원역~경기도청 출퇴근 ・주정차문제 개선 |
4 |
123B |
낮시간 (평일) |
생활노선 |
・경기도청 민원인 방문 |
1 |
||
5 |
시흥 |
37-1 |
평일 |
통학노선 |
・원거리 통학, 보행자 도로 부재 ・소사-원시 복선전철 연계 |
3 |
37-2 |
주말 |
관광노선 |
・물왕저수지 ・관광․외식․낚시 |
2 |
||
6 |
포천 |
86 |
출퇴근 |
통근, 통학노선 |
・요식업 종사자 통근 ・송우리 방면 통학 |
1 |
86-1 |
낮시간,주말 |
관광, 생활노선 |
・고모리카페촌, 국립수목원 |
|||
7 |
화성 |
2000A |
출퇴근 |
산단노선 |
・노하․덕우공단 등 공장밀집 |
3 |
2000B |
낮시간대 |
산단, 생활노선 |
・향남지구↔화성시청 거점순환 |
출처 : 경기도
'역, 정류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X 무선인터넷 서비스 확대, SK텔레콤 추가로 기존대비 3배 용량 제공 (2) | 2017.03.05 |
---|---|
중화항공 CHINA AIRLINES 2017년 3월 유류할증료 안내 (0) | 2017.03.02 |
[경기도] 고양시 풍산역 연결 '고봉동' 지역 087번 마을버스 노선 개통 (2) | 2017.02.22 |
에어차이나 중국국제항공 2017년 3월 국제선 항공 유류할증료 안내 (0) | 2017.02.20 |
[국토교통부] 저비용항공사 성장 여파, 2017년 전체 등록 항공기 800대 도달 전망 (0) | 2017.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