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일산테크노밸리 사업부지를 일산서구 대화동 일원으로 최종 결정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섭니다.
최종 사업부지가 선정된 것은 지난 2016년 6월 29일 도가 경기북부 테크노밸리를 고양시에 조성하기로 발표한 이후 약 8개월 만입니다.
경기도청 홈페이지 http://www.gg.go.kr/
도는 지난해 발표 이후 고양시, 경기도시공사, 고양도시관리공사 등 관련기관과 전담팀을 꾸려 사업부지 선정 작업을 실시한 결과, 일산서구 대화동 일대 약 80만 제곱미터(㎡;구. 24만2,000평) 규모 부지에 일산테크노밸리를 설립하기로 최종 합의했다고 2017년 3월 1일 밝혔습니다.
최종 사업부지 선정이유는 저렴한 기업용지 공급가, 킨텍스.한류월드.영상밸리 등 주변 인프라(기반시설) 확보, 교통 편리성 등입니다.
대화동 일원은 기업용지 공급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해 입주기업 임대료를 서울지역 첨단산업 입주기관의 절반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킨텍스.한류월드.방송영상밸리.공공주택과 인접해 전시.문화.방송영상.정주기능을 갖췄습니다.
지리적으로는 주변에 서울외곽순환도로, 자유로, 제2자유로가 인접해 있고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에서 각각 35분, 20분, 서울 도심권에서도 50분 내 도달 가능해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도는 3월 2일부터 14일간 난개발 방지 대책인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 지정을 위한 주민 공람’을 실시하고 일반에 구체적인 사업부지를 공개합니다.
이어 3월 중 공동시행기관 간 세부적인 역할분담과 사업비 분담비율, 개발손익 처리방안 등에 대해 공동사업시행 협약을 체결할 계획입니다.
백원국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이번 일산테크노밸리 최종 사업부지 선정을 시작으로 판교~광교~동탄을 잇는 경부축과 함께 고양~상암~광명시흥을 잇는 서부축을 경기도의 양대 성장축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일산테크노밸리는 첨단산업과 교육, 주거, 문화 등을 갖춘 미래형 자족도시로 조성 시 1조6,000억 원의 신규투자와 1,900여 개의 기업 유치, 1만8,000명 이상의 고용유발 효과 등이 기대됩니다.
도가 사업계획을 총괄하며 고양시는 도시개발구역 지정 등 행정절차 지원과 함께 도와 협력해 저렴한 용지 공급과 국내·외 기업 투자유치 역할을 담당합니다.
또 경기도시공사와 고양도시관리공사가 사업비를 분담해 공동 개발하는 도시개발사업으로 올해 중 공간 구상, 토지이용계획 등의 개발컨셉을 구체화하고 내년 상반기 도시개발구역 지정, 2019년 상반기 실시계획 인가, 2019년 하반기 부지조성공사 착공 등의 과정을 거쳐 2022년부터 기업 입주를 시작할 계획입니다.
○ 일산테크노밸리 사업구역 위치도
출처 : 경기도
'도정 군정 시정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강원도 '한탄강 유네스코(UNESCO) 세계지질공원' 인증 위해 공동 노력 (0) | 2017.03.09 |
---|---|
2017년 3월, 국내 최초 '수소차 카셰어링' 시범사업 시행 (0) | 2017.03.07 |
서울시 2017년도 '전기차 구매 보조금' 1,950만원 지원 (0) | 2017.03.01 |
국토지리정보원이 제작한 항공사진.구지도(옛지도) 등 온라인에서 무상 제공, 인쇄본 수수료 대폭 인하 (0) | 2017.02.26 |
[국토교통부] 벤츠, 포르쉐, 다임러 트럭, 혼다 리콜 실시 (총 13개 차종 850대) (0) | 2017.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