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조선왕조의궤' 등 10건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했습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 '조선왕조의궤'는 조선왕조에서 길례(吉禮)·흉례(凶禮)·군례(軍禮)·빈례(賓禮)·가례(嘉禮)를 비롯한 여러 대사(大事)를 치를 때 후세의 참고를 위하여 그와 관련된 내용을 글과 그림으로 자세하게 정리한 책입니다.
의궤는 태조 때 최초로 편찬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까지 계속되었으나, 조선 전기 의궤들은 임진왜란 때 대부분 소실되었고 현재 남아있는 것은 모두 임진왜란 이후에 제작한 것입니다.
조선왕조의궤는 제작 방식에 따라 손으로 쓴 필사본(筆寫本)과 활자로 찍어낸 활자본(活字本)으로 구분할 수 있고, 열람자에 따라 임금이 보는 어람용(御覽用)과 춘추관.지방 사고(史庫) 등에 보관하기 위한 분상용(分上用)으로 나누어집니다.
이번에 지정 예고된 조선왕조의궤 1,760건 2,756책은 일제강점기 이전에 제작된 의궤로서 어람용 의궤, 분상처가 확인되는 분상용 의궤, 분상처가 확인되지 않는 의궤 중 필사본 등이 해당됩니다.
조선왕조의궤는 중국이나 다른 나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조선만의 독특한 전통으로서, 예법을 중시하고 기록을 철저히 보존하려는 조선 시대의 우수한 기록문화 중 하나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으며,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 '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는 1307년에 작가 노영(魯英)이 흑칠한 나무 바탕 위에 금니(金泥, 아교에 갠 금박가루)로 그린 금선묘(金線描) 불화입니다.
앞면에는 아미타여래와 팔대보살을 표현하였고, 뒷면에는 고려 태조가 금강산 배재(拜岾, 절고개)에서 담무갈보살에게 예경(禮敬, 경건한 마음으로 예를 드림)하였다는 전설을 그렸습니다.
앞면은 엄격한 상하 2단 구도, 섬세하고 우아한 귀족적인 인물표현과 유려한 선묘, 단아한 형태미를 기반으로 하는 고려불화의 특징을 잘 담았고, 뒷면은 뚜렷한 윤곽선과 치형돌기(齒形突起, 산의 윤곽선 바깥쪽에 이빨 모양으로 돋아난 부분), 침형세수(針形細樹, 나무를 바늘 모양으로 표현하는 기법) 등에서 북송대 이곽파(李郭派) 화풍을 반영했습니다.
고려 시대 사경화(寫經畵, 불교 경전의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한 그림)를 연상시키는 뛰어난 금선묘 기법과 높은 완성도, 작가와 조성연대가 분명하다는 점에서 고려 불화와 산수화풍 연구에 있어 가치가 높은 자료입니다.
○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는 1776년에 천은사 대법당(극락전) 중단(中壇)에 봉안하기 위해 화련(華連) 등 14명의 화승(畵僧)이 제작한 것입니다.
삼장보살도는 수륙재와 관련된 불화로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중기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16세기 이후 많은 수의 작품들이 남아 있습니다.
천은사 삼장보살도는 18세기 후반기 불화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현존하는 삼장보살도 중 유일하게 화기(畵記) 란에 흰색 글씨로 등장하는 인물들을 낱낱이 기록해 놓아 삼장보살의 도상(圖像)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 '구례 천은사 관세음.대세지보살좌상'은 보살상의 복장(腹藏, 불상을 만들 때 뱃속에 봉안하는 사리 등의 물건)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에 따르면 태능(太能)과 영원(靈源)의 발원으로 조각승 현진(玄眞)을 비롯한 5명의 조각승들이 1614년 6월에 조성한 불상입니다.
이 2구의 보살상은 중생을 닮은 듯 실재감 있는 얼굴, 힘 있는 선묘, 늘씬한 비례감을 갖춘 17세기 전반기를 대표하는 작품입니다.
○ '익산 심곡사 칠층석탑 출토 금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칠존좌상'은 2012년 6월 석탑의 해체 수리 시 지대석 윗면에 마련된 사각형 홈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불감(佛龕)은 지붕의 네 면의 모를 죽인 녹정형(盝頂形)으로, 정상에는 2개의 고리가 달려 있고, 중앙 벽면에는 타출(打出) 기법(금속의 안팎을 두드려 문양을 도드라지게 표현하는 기법)으로 아미타여래가 설법하는 장면을 장엄하게 나타내었으며, 문비(門扉, 문짝)에는 역동적인 금강역사가 지키고 서 있습니다.
불상은 모두 7구인데, 아미타여래·관음보살·대세지보살로 구성된 삼존상과 2구의 여래와 관음·지장보살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불상들은 여말선초 때에 원·명대 라마 불교 양식을 수용하여 제작된 외래적 요소가 강한 불상들로, 외래 양식의 전래와 수용 과정을 살필 수 있어 중요합니다.
또한, 출토지가 분명한 곳에서 불감과 7구의 불상이 거의 온전한 형태로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습니다.
○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은 42수(手) 천수관음상으로, 1894년에 작성된「흥천사사십이수관세음보살불량시주」현판 기록을 통해 늦어도 19세기부터는 흥천사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천수관음신앙은 통일신라 시대부터 성행하였으나 불상으로 제작된 예는 극히 드뭅니다.
이 천수관음보살상은 가늘고 긴 신체 위에 표현된 정교한 영락장식, 화려한 문양이 투각된 원통형의 보관(寶冠), 보발(寶髮)의 가닥이 섬세하게 새겨진 보계(寶髻), 신비감이 드는 얼굴 등에서 고려 중·후기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천수관음보살상은 고려~조선 초에 제작된 매우 드문 예로서 천수관음 도상과 관음신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 '익재난고' 권6~7 및 '역옹패설'은 고려 시대 말기의 대표적인 문신이자 학자인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1287~1367년)이 지은 책입니다.
「익재난고」권6~7은 시문집으로 전 10권 가운데 2권 1책본이며, 「역옹패설」은 시문평론집으로 4권 1책본입니다.
이들 판본은 1432년에 강원도 원주에서 판각한 목판에서 인출(印出)한 목판본으로서, 조선이 개국한 지 40년이 지난 후임에도 고려의 국왕과 원(元)의 천자를 높이기 위한 개행(改行)과 간자(間字)의 방식이 여전히 시행되고 있고, 고려본의 문집에서 자주 보이는 행초(行草)의 혼용, 그리고 같은 자가 반복될 때에 쓰이는 기호인 ‘⺀ ’표도 자주 쓰이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문학연구와 서지학연구의 중요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습니다.
○ '퇴계선생문집' 및 '퇴계선생문집목판'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년)의 학문적 성과를 집성한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습니다.
더욱이 그 내용의 풍부함이나 분량의 방대함, 그리고 이를 편집하고 간행하는 과정에서 구축한 문집편집의 방법과 성과는 조선 후기 문집의 편집과 판각의 전범(典範)이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퇴계선생문집」은 46권 24책(본집 45권 23책, 별집 1권 1책)으로 경자년(1600년) 초간본이며, 「퇴계선생문집목판」은 752매(본집 709매, 외집 15매, 별집 28매)로서 초간본을 인출한 목판입니다.
한국 문집의 연구와 조선 중기의 목판 인쇄문화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조선왕조의궤」등 10건에 대해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입니다.
◎ 지정 예고 문화재 목록
연번 |
문화재명 |
수량 |
보관처 |
1 |
조선왕조의궤 |
1,760건 2,756책 |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립고궁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중앙도서관, 사천시청, 한국순교자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삼척시립박물관,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청주시청 |
2 |
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 |
1점 |
국립중앙박물관 |
3 |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
1폭 |
천은사 |
4 |
구례 천은사 관세음․대세지보살좌상 |
보살상 2구, 발원문 1점 |
천은사 |
5 |
익산 심곡사 칠층석탑 출토 금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칠존좌상 |
불감 1점, 불상 7구 |
왕궁리유적전시관 |
6 |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
1구 |
흥천사 |
7 |
익재난고 권6~7 |
2권 1책 |
계명대학교 |
8 |
역옹패설 |
4권 1책 |
계명대학교 |
9 |
퇴계선생문집 |
46권 24책 |
계명대학교 |
10 |
퇴계선생문집목판 |
752매 |
한국국학진흥원 |
※ 출처 : 문화재청
'도정 군정 시정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관련 증명서 18종을 1종에 담아 발급, 부동산종합증명서 서비스 실시 (0) | 2016.01.02 |
---|---|
[경기도] 2016년 도내 중소기업 기술개발에 총 70억 원 지원 계획 발표 (0) | 2016.01.01 |
성남시, 2016년 3월까지 탄천 모든 구간 화장실에 방범 비상벨 설치 (0) | 2016.01.01 |
[국가보훈처] 2016년 1월의 독립운동가에 '염재야록'을 저술한 조희제 선생 선정 (4) | 2015.12.31 |
[서울특별시] 박원순 서울시장 2016년 신년사 발표 (0) | 2015.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