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서울역사박물관 야외전시 중인 '전차 381호' 마지막 운행 당시 모습으로 복원 완료

by 초록배 2018. 1. 21.
반응형


지금은 사라졌지만 1960년대까지만 해도 도로 표면의 궤도를 달리는 노면전차가 서울 도심을 달렸습니다.

 노면전차는 우리나라에 첫 도입된 1899년부터 약 60년 동안 서울의 가장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이용되었지만 버스, 자동차 같은 대체 교통수단이 등장하고 차량이 점차 노후화되면서 1968년 11월 28일 자정을 마지막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museum.seoul.kr/


서울 신문로 ‘서울역사박물관’ 큰길 쪽 마당에는 실제 운행됐던 노면전차 중 현재까지 남아있는 2대 중 하나인 '전차 381호'가 있습니다.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송인호)은 보존처리 작업을 통해 1968년 마지막으로 운행됐던 당시 형태 그대로 내‧외부를 복원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전차 381호(길이 13.7미터(m), 너비 2.4m, 높이 3.2m, 무게 18톤(t))는 1968년 당시 운행됐던 총 176대 가운데 현재 남아있는 2대 중 하나입니다.

 2010년 8월 24일 근대문화유산 중 보존 및 활용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재청등록문화재 제46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나머지 1대(전차 363호)는 서울어린이과학관에서 보존 중).



특히, 제작사, 모델, 탑승인원 등 각종 제원(諸元)이 명확하고 운행시기(1930년대~1968년)가 확인되어 20세기 중반(일제강점기~1970년대 이전) 서울의 교통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전차 381호는 1968년 전차운행이 전면 중단된 이후 1973년부터 서울어린이대공원(능동)에 전시되다가 2007년 서울역사박물관으로 옮겨왔습니다.

 지난 2009년 1차례 보존처리를 했지만 당시에는 자료 부족으로 실내 철물과 내장재 등 일부분이 복원되지 못해 완전한 복원이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2017년 보존처리 사업’을 통해 도면과 당시 사진자료를 분석해 이 전차가 1966년~1968년 사이에 개조됐다는 사실과 실내 합판종류, 출입문 걸쇠‧운전석 차단봉 등 철물 제작에 사용된 접합방식 등을 새롭게 밝혀냈습니다. 



보존처리 전에는 차체 외부 도장(塗裝)이 손상되어 들떠있거나 부분적으로 결손된 상태였으며, 실내 철물들은 기능을 상실하거나 자료 부족으로 복원하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또, 보존처리 전 손상돼 있던 차체외부 도장은 성분 및 색상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재도색해 복원하고, 미복원됐던 철물(hardware)은 1960년대 사진자료와 도면을 근거로 형태를 복원한 후 부착했습니다. 


당시(1966년~1968년) 개조된 형태의 가장 큰 특징은 출입문을 총 6개(양쪽 3개씩)에서 4개(양쪽 2개씩)로 줄이고 승차 가능 인원을 늘리기 위해 내부 벽면을 따라 길게 부착됐던 좌석 4개를 2개로 줄인 점, 또 정중앙에 있던 출입문을 한쪽으로 치우친 형태로 부착한 점 등입니다.

 또, 보존처리 과정 중 내부에서 수습된 벽면 합판 파편에 대한 분석 결과 고밀도 섬유질 판재인 ‘하드보드(Hard Board)’가 사용된 사실과 걸쇠 및 운전석 차단봉 등 실내 철물 제작에 사용된 접합방식이 리벳팅(Riveting) 기법이라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한편,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보존을 위해 목재, 금속, 도자기, 석재, 지류, 서화 등 연간 약 250여 점의 다양한 문화재를 보존처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2005년 청계천 출토유물, 2008년 북한산 삼천사지 출토유물, 2009년 전차381호, 2011년 유순정 영정 등의 보존처리를 수행하는 등 손상된 서울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7년 북한산 삼천사지에서 출토된 ‘청자상감유문매병’은 오염된 상태의 약 100여 개의 편들로 나뉘어 수습되었으나, 1년여 동안의 세척과 접합 그리고 복원 과정을 거쳐 제작된 당시의 원형으로 수복했습니다.


2011년에는 보존처리 전 6조각으로 분리된 상태로 손상된 ‘유순정 영정’을 세척과 배접 그리고 색맞춤 처리를 거친 후 전통적인 형태로 족자를 꾸며 조선시대 초상화 형태로 복원했습니다.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