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정 군정 시정 소식1614

2015년 10월 문화가 있는 날, 행사 시행 이래 참여 프로그램 수 2055개로 최다 기록 매달 마지막 수요일은 일상에서 문화를 더욱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문화융성위원회와 함께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입니다. 문체부는 지난 2015년 10월 ‘문화가 있는 날’에, 사업 시행 이래 가장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발표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http://www.mcst.go.kr/ 문화가 있는 날 공식 홈페이지 http://www.culture.go.kr/wday/ 이번 ‘문화가 있는 날’에 영화관, 박물관 및 미술관, 도서관 등 다양한 문화시설이 제공한 문화예술프로그램 수는 총 2,055개였습니다. 이는 2015년 성과 목표인 2,000개를 초과 달성한 수치이며, ‘문화가 있는 날’ 시행 첫 해인 2014년 1월 실적(883개)과 비교하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 2015. 11. 5.
[서울시] 서울시, '니트족(사회 밖 청년)'에게 최소 사회참여활동비 지원 서울시가 일명 NEET청년(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니트족) 등 정기소득이 없는 미취업자 중 활동의지를 가진 청년들이 사회참여활동을 하고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도록 심사를 거쳐 2개월(최소)~6개월(최대) 월 평균 5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활동 지원 사업’을 시작합니다. 서울시청 홈페이지 http://www.seoul.go.kr/ '니트족'(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은 정규교육을 받지도 않고, 노동시장에서도 제외되어 있으며, 취업을 위한 직업훈련에도 참여하지 않는 청년층을 의미합니다. 교육비, 교통비, 식비 등 최소 수준의 활동 보조비용에 해당하는 것으로, 서울 거주 만 19세~29세 중위소득 60%.. 2015. 11. 5.
[부산시] 2015년 11월 4일 '부산음악창작소(Music Lab Busan)' 개소식 개최 부산시에서는 2015년 11월 4일 오후 5시, 부산대학교 앞 근영빌딩 지하 1층에서 '부산음악창작소(Music Lab Busan) 개소식'을 개최합니다.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 '부산음악창작소'는 지난해(2014) 문화체육관광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지역기반형 음악창작소'로서, 부산 최대의 대학로이며 인디문화 중심지인 부산대학교 앞에 마련됐습니다. '지역기반형 음악창작소 조성사업'은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지속적인 발전과 음악인들의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자유롭게 창작할 수 있는 창작 생태계 조성을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 추진하는 지원 사업으로 국비와 시비를 합쳐 총 20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부산시는 콘텐츠코리아랩 금정센터와 금정예술공연지원.. 2015. 11. 4.
[서울시 강동구] 2015년 11월부터 인근 어린이집 어린이 모아 '거점형 시간연장 어린이집' 운영 서울 강동구는 맞벌이 부부의 걱정을 덜어주기 위해 저녁에도 걱정없이 아이들을 맡길 수 있는 거점형 시간연장 어린이집을 운영합니다. 구립 구민회관 어린이집 홈페이지 http://9minlove.kidis.co.kr/preschool/SEGD0007/index.html 서울 강동구청 공식 홈페이지 http://www.gangdong.go.kr/ '거점형 시간연장 어린이집'이란 시간연장이 필요한 인근 다른 어린이집 아동을 모집해 체계적인 시간연장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으로, 현재 강동구를 포함한 서울시 5개 자치구에서 시범운영중입니다. 강동구에서는 2015년 11월부터 '구립 구민회관 어린이집(원장 유미경)'이 거점형 시간연장 어린이집으로 선정돼 운영을 시작합니다. 어린이집 운영시간은 아침 7시 30분.. 2015.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