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108 문화재청 '김치 담그기'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단 보유자 보유단체는 불인정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한국인의 정체성이 그대로 깃들어 있는 공동체 음식문화 '김치 담그기'를 국가무형문화재 제133호로 지정하였습니다. 김치 담그기는 201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은 '김장문화'보다 폭넓은 개념으로, 각 지역의 특색 있는 김치와 그 문화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김치 담그기는 한국사회에서 지역적, 사회적, 경제적 차이를 넘어 대한민국 국민 전체가 공동체로 참여하는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문화로, 김치는 한국인의 식사에서는 빠질 수 없는 음식이며, 국제적으로도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역사적으로 상당기간 한국문화의 중요한 구성요소라는 점, 협동과 나눔이라는 공동.. 2017. 11. 16. 천안 성거산 위례성에서 백제 시대 최대 목곽고 확인, 현장 공개설명회 개최 충남 천안 성거산 위례성(충청남도 기념물 제148호)에 있는 용샘(물웅덩이) 발굴조사 중에 백제 시대의 목곽고(木槨庫)가 확인됐으며, 2017년 11월 14일 오전 10시 현장공개 설명회를 개최합니다. * 발굴현장: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호당리 산 45번지 일원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의 허가를 받아 천안시(시장 구본영)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원장 이종수)이 작년(2016) 6월부터 시행한 위례성 내 용샘에 대한 1차 조사에서 조선 시대 석축 우물을 확인하였는데, 올해 시행한 2차 조사에서는 백제 시대 목곽고가 나온 것입니다. 이 목곽고는 백제 시대에 처음 조성된 이후 통일신라 시대를 거쳐 고려 시대,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석축우물로 개.. 2017. 11. 13. [문화재청] 경북 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정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하였습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은 영양에 처음 입향(入鄕)한 조원(趙源, 1511~?)의 손자 조임(趙任, 1573~1644)이 1602년 건립한 것으로 전해지며, 북쪽의 야산을 뒤로 하고 남쪽으로는 반변천(半邊川)과 농경지를 바라보고 있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형국을 이룹니다. 고택은 'ㅁ(미음)'자형 본채와 왼쪽의 방앗간채, 오른쪽 뒷면에 별도의 영역을 이룬 사당으로 구성됩니다. 주목할 점은 본채는 경북지역 상류 주택의 보편적인 특징으로 보이는 ‘ㅁ’자형의 공간구성을 취하고 있으나, 사랑채는 ‘ㅁ’자형의 바깥에 자리한 점입니다... 2017. 11. 12.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창경궁 대온실' 보수공사 마치고 다시 개방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소장 김명준)는 등록문화재 제83호인 '창경궁 대온실'의 보수공사를 마치고 2017년 11월 10일부터 재개방합니다. 창경궁 홈페이지 http://cgg.cha.go.kr/ 창경궁 대온실은 지난 2013년 문화재청이 자체적으로 시행한 ‘국가지정(등록)문화재 특별 종합점검’ 결과에 따라 관람을 중단하고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1월까지 1년 3개월간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펼쳤습니다. 특히, 이번 보수공사에서는 타일 철거 과정에서 대온실 최초 준공 시에 사용된 영국제 타일 원형을 발견하여 해당 제조사의 1905년 책자를 근거로 보수하는 등 원형 복원에 힘썼습니다. ‘창경궁 대온실’은 창경궁 내에 자리한 건물로 1909년에 건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온실입니다. 당시 일본 황실 식물원 책.. 2017. 11. 8.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