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양수산부76

해양수산부 2025년 2월 이달의 수산물 '전복.아귀' 선정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2025년 2월, 이달의 수산물로 전복과 아귀를 선정하였습니다.  전복은 ‘바다의 인삼’이라고도 부르는 영양식으로, 각종 광물질(미네랄)이 풍부하여 피로회복과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습니다. 전복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데, 쫄깃한 전복과 짭조름한 양념간장이 어우러진 전복장은 오독오독한 식감과 감칠맛으로 추운 날씨에 입맛을 돋우는 데 효과적입니다. 넓적한 몸체와 비대칭인 큰 머리를 가진 아귀는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기력 회복과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입니다. 아귀는 심해성 흰살 생선의 특징을 지녀 지방 함량이 낮으므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널리 사랑받습니다. 미나리 등 채소와 함께 매콤하게 조리한 아귀찜은 겨울철 보양식으로 인기 있는 음식 중 하나.. 2025. 2. 4.
해양수산부 선정 2025년 1월 이달의 수산물 방어.송어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2025년 첫 이달의 수산물로 방어와 (무지개)송어를 선정하였습니다. 방어는 날씨가 추워질수록 살이 오르고 지방이 풍부해져서 겨울철에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생선입니다. 불포화지방산, 비타민D(디) 등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 면에서도 뛰어나며, 부위별 지방 함량에 따라 다른 맛을 내어 취향에 맞게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해서 즐길 수 있습니다. (무지개)송어는 육질 색이 붉고 선명한 것이 소나무와 비슷하다고 하여 송어(松魚)라는 이름이 붙은 생선입니다. ※ 시중에 유통중인 대부분의 송어는 양식산 무지개송어입니다. 송어는 지방이 적고 탄력 있는 육질을 지녀 회로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담백한 식감을 살려 찜.구이 등으로 조리해도 맛있습니다. 송어는 항산화 효과를 지닌 셀레늄을 많이.. 2025. 1. 4.
해양수산부 선정 2023년 12월 이달의 수산물 - 방어, 굴, 미역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2023년 마지막 달,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드는 12월을 맞아 이달의 수산물로 방어, 굴, 미역을 선정하였습니다. 제철을 맞은 방어는 매년 12월부터 다음 해 1월까지 가장 맛이 좋으며, 불포화지방산(DHA), 비타민D 등 영양이 풍부하여 겨울철 인기가 많은 횟감입니다. 특히 크기가 큰 대방어는 부위별로 맛이 다른데, 기름기가 적은 몸통 부위부터 시작하여 기름기가 많은 부위를 번갈아 먹어야 맛이 있습니다. 굴은 ‘바다의 우유’로 불릴 만큼 영양분이 많고 맛이 풍부하여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랑받는 식재료입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생굴 그대로 초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갓 담근 김장김치에 보쌈과 함께 곁들여 먹는 별미를 즐길 수 있습니다. 생굴 외에 매생이와 함께 끓인 굴국은 물론 굴전,.. 2023. 12. 2.
해양수산부 선정 2023년 11월 이달의 수산물 '참조기.해삼'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가 가을이 깊어가는 2023년 11월, 이달의 수산물로 참조기와 해삼을 선정하였습니다. 참조기는 남녀노소 모두가 좋아하는 생선으로, 예로부터 임금님 수라상과 제사상 등에 빠지지 않는 생선으로 유명합니다. 참조기는 9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가 제철으로 그 맛이 더욱 뛰어나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참조기는 라이신이 풍부하여 소화에 좋은데, '본초정화*에는 ‘숙식(宿食)**을 소화시킨다’, '동의보감'에는 ‘배가 불러 오른 것을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 저자와 저술연대가 명확하지 않은 조선시대 본초(약재나 약학)에 관한 전문 의서 ** 하루가 지나도 소화가 되지 아니하고 위장에 남아있는 음식물 해삼은 ‘바다의 삼’이라고 불릴 만큼 영양소가 풍부한 수산물 중 하나입니다. 10.. 2023.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