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청152

[문화재청] 2016년도 매장문화재조사 전문교육, 4개 분야 9개 과정 운영 문화재청(청장 나선화)과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회장 조상기)는 매장문화재조사 품질 향상과 전문인력 역량 제고를 위한 '2016년 매장문화재조사 전문교육'을 오는 11월까지 운영합니다. 한국매장문화재협회 홈페이지 http://www.kaah.kr/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올해 교육은 기본교육 1개 과정(조사현장 안전보건), 전문교육–직무분야 2개 과정(법령과 행정실무, 조사기관 운영 특강), 전문교육–조사연구분야 5개 과정(토층조사, 유물실측, 구석기유적 조사, 발굴보고서 작성, 지표조사), 시민강좌 1개 과정(매장문화재 보존관리 홍보) 등 4개 분야 9개 과정을 개설·운영합니다. 특히,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관련 분야 지식과 실무를 겸비한 강사진을 위촉하여 실습교육.. 2016. 2. 12.
[국립고궁박물관] 2016 2월부터 누리집(홈페이지) 통해 수장고 보관 유물 매달 공개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최종덕)은 수장고 깊숙이 보관되어 왔던 왕실 유물을 매달 1점씩 선정하여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을 통해 소개하는 '수장고 속 왕실유물 이야기'를 이번 달(2016년 2월)부터 운영합니다.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gogung.go.kr/ 문화재청 홈페이지(누리집) http://www.cha.go.kr/ 왕실문화 전문 박물관인 국립고궁박물관은 국가제례, 궁궐 건축 등 공적 영역뿐만 아니라, 궁중 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에, 지금까지 다채로운 상설‧기획전시와 도록 발간 등을 통해 조선왕실 어보‧어진 등 왕실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을 선보였던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왕실문화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장.. 2016. 2. 11.
[문화재청] '고종황제 하사 족자' 문화재 등록, '간호교과서' 문화재 등록 예고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고종황제 하사 족자'를 등록문화재로 제656호로 등록하고, '간호교과서'를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습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이번에 문화재로 등록된 고종황제 하사 족자는 19세기 말기에 정부(대한제국)가 고종의 주치의였던 에비슨(Oliver R. Avison, 1860~1956년)에게 하사한 족자입니다. * 에비슨: 1893년 8월 말 서울에 도착한 후 고종의 피부병을 치료한 인연으로 10년간 왕실 주치의로 활동한 캐나다 출신 의료 선교인 이 족자의 특이한 점은 족자 가운데에 적혀 있는 ‘投良濟堯帝時巫咸’와 족자 오른쪽에 하사받는 사람을 명시한 ‘宜丕信 大人 閣下’의 위쪽에 각각 ‘투량뎨요뎨시무함’, ‘의비신 대인 각하’와 같이 한글 음을 작.. 2016. 2. 11.
[문화재청] 당산제, 산신제 등 자연유산 민속행사 65건 발굴, 지원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오랜 세월 지역 주민들과 함께 삶을 영위해 온 천연기념물과 명승에 얽힌 다양한 민속행사를 발굴하여 '소금강 청학제' 등 전국에서 펼쳐지는 65건의 행사를 지원합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마을의 큰 나무나 숲 등의 자연물을 신성하게 여기고 이를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매년 마을과 주민들의 평안과 번영을 비는 풍습이 전해 내려왔습니다. 그러나, 산업화.도시화의 영향으로 그 명맥이 점차로 단절됨에 따라 문화재청은 2003년부터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대상으로 한 당산제, 산신제 등을 지원하여 마을 고유의 민속신앙을 계승하고 주민들의 결속력을 다지는 동시에 지역민들의 자연유산 보호의식을 높이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경상북도 예천군.. 2016.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