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청152

[문화재청] 2016 2월 1일부터 문화유산 3D 데이터 121점 제공서비스 개시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한국정보문화원(원장 김소연)과 '종묘 정전'(국보 제227호) 등 문화유산 89건 121점에 대한 3차원(3D) 데이터베이스 제작자권리 신탁계약을 체결하고 2016년 2월 1일부터 관련 자료를 국민에게 제공합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문화재청은 문화재 원형정보의 디지털 기록화를 통해 복원.보수정비 등 문화재 보존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고, 출판.영상 분야 등에 공공저작물의 다양한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문화유산 3차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2월 1일부터 서비스되는 자료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제작된 것으로 원천 데이터(ASC파일, PLY파일)는 한국문화정보원의 ‘공공저작권 신탁관리시스템’ (http.. 2016. 2. 2.
[국립고궁박물관] '궁(宮) 프로젝트' 세 번째 이야기 '창경궁을 보듬다' 작품전시회 개최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김재열)는 오는 2016년 2월 2일부터 14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창경궁의 역사와 현대적 조명을 다룬 전통회화 작품전 ‘창경궁을 보듬다’를 개최합니다.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gogung.go.kr/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이번 작품전시회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전통회화 전공(지도 권지은 교수) 4학년 재학생들이 기획하여 2014년부터 매년 진행 중인 ‘5대 궁 이야기(宮 프로젝트)’의 하나입니다. 궁(宮) 프로젝트는 전통회화 기법과 재료를 토대로 모사(模寫)와 창작을 통해 젊은 예비 전통회화 작가들이 궁의 역사와 장소, 인물 등을 새로운 시각으로 현대의 감성에 맞게 풀어나가는 기획전입니다. .. 2016. 1. 29.
[문화재청] 경주 인왕동 사지, 사적 제533호로 지정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에 있는 ‘경주 인용사지’(慶州 仁容寺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40호)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33호 '경주 인왕동 사지'(慶州 仁旺洞 寺址)로 지정합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경주 인왕동 사지는 신라 태종 무열왕의 둘째 아들 김인문의 원찰(願刹)인 인용사(仁容寺) 터로 추정되어 1991년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경주 인용사지’로 지정되었습니다. * 원찰(願刹): 소원을 빌거나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건립하는 절 2002년부터 2011년까지 4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인왕동 사지는 중문, 쌍탑, 금당, 강당, 회랑을 기본으로 하는 신라의 전형적 가람배치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다른 신라 사찰과 비교되는 독.. 2016. 1. 28.
[국립문화재연구소] 10년간 진행한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간행작업, 총 9권으로 완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는 세계유산 조선왕릉의 학술가치를 규명하고 보존관리를 위한 고증자료를 확보하고자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를 진행하고, 그 성과를 담은 보고서 9권을 완간했습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nrich.go.kr/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2006년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 사업을 처음 시작할 당시에는 사진, 도면 등 왕릉에 대한 현황자료가 충분하지 못해 그 면모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려웠습니다. 이에, 관련 기초정보 축적과 학제 간 연구에 집중하였고, 이 과정에서 '역사의 숲, 조선왕릉'을 국.영문판으로 발간하여 2009년 조선왕릉이 우리나라의 아홉 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 2016. 1. 26.